<절 바르게 하는 법>
1. 몸을 반듯하게 세우고 두 손을 모아 합장한다. 2. 무릎을 바닥에 대구 꿇는다. 발끝을 세워 딛고 시선을 정면을 본다. 3. 오른손으로 바닥을 짚는다. 4. 왼손으로 바닥을 짚으며 이마를 바닥에 대구 깊이 숙인다. 이때 오른발이 아래로 오게 포갠다.
5. 양 손바닥을 뒤집어 젖히고 귀 높이까지 올린다. 6. 하늘을 향해 올린 손을 내려 바닥에 댄다. 7. 오른손으로 바닥을 밀고 왼손을 가슴으로 가져오며 상체를 세운다. 8. 오른손을 가져와 모은다. 상체를 반듯하게 세우며 일어난다. 퍼온곳 : 나를 찾는 불공(네이버 카페) |
불교용어
2014.02.13 16:27
절 바르게 하는 방법
조회 수 8068 추천 수 0 댓글 0
번호 | 분류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246 | 설법 | 공부의 바른길 - [4] 경계에서 법을 분별하지 말라 | 短長中庸 | 2014.06.09 | 3407 |
245 | 설법 | 공부의 바른길 - [3] 하심(下心) | 短長中庸 | 2014.06.09 | 3914 |
244 | 설법 | 공부의 바른길 - [2] 믿음 | 短長中庸 | 2014.06.09 | 4560 |
243 | 설법 | 공부의 바른길 - [1] 참선(參禪)이란? | 短長中庸 | 2014.06.09 | 3431 |
242 | 불교용어 | 색수상행식(色受相行識, 몸·느낌·인식·의도·식)이란? | 短長中庸 | 2014.03.25 | 7843 |
241 | 불교용어 | 화신(化身, nirma-n.a-ka-ya) 이란? | 短長中庸 | 2014.03.25 | 7097 |
» | 불교용어 |
절 바르게 하는 방법
![]() |
短長中庸 | 2014.02.13 | 8068 |
239 | 설법 | 절하는 공덕 | 短長中庸 | 2014.02.13 | 4933 |
238 | 설법 | 절을 통한 참회 - 절의 횟수 (3) | 短長中庸 | 2014.02.13 | 5203 |
237 | 설법 | 절을 통한 참회 - 절, 어떻게 할 것인가! (2) | 短長中庸 | 2014.02.13 | 4369 |
236 | 설법 | 절을 통한 참회 - 절은 '나'를 비우는 참회법 (1) | 短長中庸 | 2014.02.13 | 4189 |
235 | 불교용어 |
합장(合掌)
![]() |
短長中庸 | 2014.02.13 | 7070 |
234 | 설화 | 조신(調信)의 꿈 - 조신 설화 | 短長中庸 | 2013.11.01 | 3349 |
233 | 설법 | 자기만이 자기를 걷게 할 수 있다 - 대행스님 | 短長中庸 | 2013.08.16 | 4834 |
232 | 불교용어 | 순경계와 역경계 | 短長中庸 | 2013.05.26 | 7691 |
231 | 불교용어 | 범망경(梵網經) 보살 10중계(重戒) 와 보살 48경계(輕戒) | 短長中庸 | 2012.07.17 | 17859 |
230 | 보왕삼매론 | 11. 온갖 역경이 나를 휘두를 때 - 법상스님 | 短長中庸 | 2012.06.19 | 5504 |
229 | 보왕삼매론 | 10. 억울할 때 - 법상스님 | 短長中庸 | 2012.06.19 | 6803 |
228 | 보왕삼매론 | 9. 가난할 때 - 법상스님 | 短長中庸 | 2012.06.19 | 5399 |
227 | 보왕삼매론 | 8. 베풀고 싶을 때 - 법상스님 | 短長中庸 | 2012.06.19 | 55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