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것이 무명(無明)인가? 일체 중생이 비롯함이 없는 옛부터 갖가지로 뒤바뀐 것(顚倒)이 마치 어리석은 사람이 동서남북 방향을 바꾸어서 생각하듯, 사대(四大)를 잘못 알아 자기의 몸이라 하며, 육진(六塵) 경계에 반연된 그림자를 자기의 마음으로 삼는 것이다. 비유하면 병든 눈이 허공꽃[空花]이나 제이의 달[第二月]을 보는 것과 같다.
허망한 집착 때문에 허공의 자성을 미혹할 뿐 아니라, 또한 실제의 꽃이 생겨나는 곳에도 미혹하게 된다. 이런 까닭에 허망하게 생사에 윤회함이 있으니 그러므로 무명이라 말하는 것이다.
마치 꿈 속의 사람이 꿈꿀 때는 사물이 없지 아니하나, 꿈을 깨고 나서는 마침내 얻을 바가 없는 것과 같으며, 뭇 허공꽃이 허공에서 사라지나 일정하게 사라진 곳이 있다고 말하지 못함과 같다. 왜냐하면 본디 생겨난 곳이 없기 때문이다. 일체 중생이 생겨날 곳이 없는 가운데서 허망하게 생멸(生滅)을 보니, 이 때문에 '생사에 윤회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또한 몸과 마음도 없고, 생사를 받음도 없으리니,짓는 까닭에 없는 것이 아니라 본래 성품이 없기 때문이다. 이것을 알고 깨닫는 것(知覺)도 또한 허공과 같으며, 허공인 줄 아는 것도 곧 허공꽃의 모양이로되, 또한 지각하는 성품이 없다고도 말할 수 없으니, 있고(有) 없음(無)을 함께 보내면 이를 곧 정각(正覺)에 수순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여래장(如來藏)중에 일어나고 멸함이 없기 때문이며, 지견이 없기 때문이며, 법계의 성품이 구경에 원만하여 시방에 두루한 것과 같기 때문이니, 이것을 인지법행(因地法行)이라 한다. 보살이 이에 의하여 대승 가운데 청정한 마음을 일으키나니, 말세 중생이 이를 의지하여 수행하면 사견에 떨어지지 아니할 것이다. -원각경 문수보살장에서- 출처 : 무한진인 네이버블로그 |
어떤 것이 무명인가?
-
제2장 극락세계의 삼성(三聖) - 4.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 (6)
-
제4장 사바(裟婆)와 극락(極樂)과의 비교(比較) - 1. 삼계(三界)와 극락의 비교
-
제5장 연종(蓮宗)의 염불방법(念佛方法) - 1. 염불(念佛)의 의의(意義)
-
제5장 연종(蓮宗)의 염불방법(念佛方法) - 4. 정행염불(正行念佛) - (9)
-
제8장 유심정토(唯心淨土)와 자성미타(自性彌陀)의 변론(辯論) - 3. 대우선사(大佑禪師)의 설(設)
-
제9장 운명(殞命)의 전후 - 3. 아뢰야식(阿賴耶識)과 중유(中有)
-
13. 중국편 - 임제의현, 영명연수
-
제2장 극락세계의 삼성(三聖) - 4.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 (3)
-
제2장 극락세계의 삼성(三聖) - 5. 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 - (3)
-
제3장 왕생(往生)의 예(例) - 1. 아미타불을 친견(親見)한 실례(實例)
-
제5장 연종(蓮宗)의 염불방법(念佛方法) - 5. 조행염불(助行念佛) - (9)
-
공성(空性)의 여덟가지 특징
-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의 유래
-
제1장 극락세계(極樂世界) - 4. 극락세계와 삼계(三界)와의 비교(比較) (1)
-
제3장 왕생(往生)의 예(例) - 4. 극락삼성(極樂三聖)이 극락 왕생을 예보(豫報)
-
11. 중국편 - 백장회해, 대매법상
-
17. 한국편 - 균여(均如) 대사
-
24. 한국편 - 일연선사 ②
-
제1장 극락세계(極樂世界) - 4. 극락세계와 삼계(三界)와의 비교(比較) (3)
-
제3장 왕생(往生)의 예(例) - 2. 왕생을 내보(來報)한 실예(實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