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종집요 蓮宗集要] 제 2장 극락세계의 삼성(三聖)
一. 삼성(三聖)의 인행(因行)
삼성(三聖)은 극락세계의 교주(敎主)이신 아미타불과 그 왼편에 계신[左脇侍 좌협시]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과 오른편[右脇侍 우협시]에 계신 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을 말함이니 그의 인행(因行)에 다음과 같은 일이 있었다.
지나간 겁(劫)에 용진왕(龍珍王)이 산에 들어가서 도를 닦을 때에 신하의 두 딸인 녹파나(綠波那)와 세택가(洗澤訶)가 따라 들어가서 도를 배웠으니 왕은 지금의 아미타불이시고 녹파나는 관세음보살이시고 세택가는 대세지보살이시다.
《註》 -.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중생에게 온갖 두려움이 없는 무외심(無畏心)을 베푸신다는 뜻으로 이 보살은 대자(大慈) 대비(大悲)를 근본 서원으로 하시는 보살이신데 관세음(觀世音)이란 세간의 모든 소리를 다 듣고 보며, 그에 따라 중생을 돕는다는 뜻이고, 이 보살이 세상을 교화함에는 중생의 근기(根機)에 맞추어 갖가지 모습으로 나투시는데, 이 보살이 왼손에 든 연꽃은 중생이 본래 갖춘 불성(佛性)을 표시함이요, -. 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
아미타불에게 자비문(慈悲門), 지혜문(智慧門)이 있는 중에 -. 삼도(三途)
불교에서는 욕망으로 가득 찬 세계의 생물을 6단계로 나누어
이 가운데서 지옥·아귀·축생의 셋이 가장 나쁜 것으로 간주되어 |
제2장 극락세계의 삼성(三聖) - 1. 삼성(三聖)의 인행(因行)
-
제2장 극락세계의 삼성(三聖) - 4.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 (6)
-
제4장 사바(裟婆)와 극락(極樂)과의 비교(比較) - 1. 삼계(三界)와 극락의 비교
-
제5장 연종(蓮宗)의 염불방법(念佛方法) - 1. 염불(念佛)의 의의(意義)
-
제5장 연종(蓮宗)의 염불방법(念佛方法) - 4. 정행염불(正行念佛) - (9)
-
제8장 유심정토(唯心淨土)와 자성미타(自性彌陀)의 변론(辯論) - 3. 대우선사(大佑禪師)의 설(設)
-
제9장 운명(殞命)의 전후 - 3. 아뢰야식(阿賴耶識)과 중유(中有)
-
13. 중국편 - 임제의현, 영명연수
-
제2장 극락세계의 삼성(三聖) - 4.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 (3)
-
제2장 극락세계의 삼성(三聖) - 5. 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 - (3)
-
제3장 왕생(往生)의 예(例) - 1. 아미타불을 친견(親見)한 실례(實例)
-
제5장 연종(蓮宗)의 염불방법(念佛方法) - 5. 조행염불(助行念佛) - (9)
-
공성(空性)의 여덟가지 특징
-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의 유래
-
제1장 극락세계(極樂世界) - 4. 극락세계와 삼계(三界)와의 비교(比較) (1)
-
제3장 왕생(往生)의 예(例) - 4. 극락삼성(極樂三聖)이 극락 왕생을 예보(豫報)
-
11. 중국편 - 백장회해, 대매법상
-
17. 한국편 - 균여(均如) 대사
-
24. 한국편 - 일연선사 ②
-
제1장 극락세계(極樂世界) - 4. 극락세계와 삼계(三界)와의 비교(比較) (3)
-
제3장 왕생(往生)의 예(例) - 2. 왕생을 내보(來報)한 실예(實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