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종집요 蓮宗集要] 제3장. 왕생(往生)의 예(例)
1. 아미타불을 친견(親見)한 실례(實例)
천축(인도의 옛 이름) 계두마사의 오통보살(五痛菩薩)이 신력(神力)으로 극락세계에 가서 아미타불을 뵈옵고 여쭈기를 사바세계의 중생이 정토에 나기를 원 하오나 성상(聖像)을 뵈옵지 못하와 강림하시기를 바라나이다. 하니 부처님께서 네가 먼저 내려가면 내가 따라 나타나리라 하셨다. 오통보살이 돌아와 보니 성중이 이미 오셨는데 한 부처님과 오천 보살이 각기 연화에 앉으시고 또 나뭇잎위에 계시었다. 이에 그 형상을 모사하여 전국에 널리 퍼뜨렸다.
중국 당나라 때의 여인 요파는 상당사람인데 범파라는 분이 염불을 권하므로 요파는 가연(家緣)을 끊고 일심으로 염불하더니 임종 때에 아미타불이 공중에 강림하시고 관음 세지 두 보살이 모신 것을 뵈옵고 요파가 부처님께 여쭈기를 범파를 만나지 못하였더라면 어찌 부처님을 뵈옵게 되겠나이까. 부처님께서 잠깐만 계시면 범파와 작별하겠나이다. 하더니 범파가 이르매 요파는 서서히 화(化) 하였다.
|
제3장 왕생(往生)의 예(例) - 1. 아미타불을 친견(親見)한 실례(實例)
-
제2장 극락세계의 삼성(三聖) - 4.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 (6)
-
제4장 사바(裟婆)와 극락(極樂)과의 비교(比較) - 1. 삼계(三界)와 극락의 비교
-
제5장 연종(蓮宗)의 염불방법(念佛方法) - 1. 염불(念佛)의 의의(意義)
-
제5장 연종(蓮宗)의 염불방법(念佛方法) - 4. 정행염불(正行念佛) - (9)
-
제8장 유심정토(唯心淨土)와 자성미타(自性彌陀)의 변론(辯論) - 3. 대우선사(大佑禪師)의 설(設)
-
제9장 운명(殞命)의 전후 - 3. 아뢰야식(阿賴耶識)과 중유(中有)
-
13. 중국편 - 임제의현, 영명연수
-
제2장 극락세계의 삼성(三聖) - 4.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 (3)
-
제2장 극락세계의 삼성(三聖) - 5. 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 - (3)
-
제3장 왕생(往生)의 예(例) - 1. 아미타불을 친견(親見)한 실례(實例)
-
제5장 연종(蓮宗)의 염불방법(念佛方法) - 5. 조행염불(助行念佛) - (9)
-
공성(空性)의 여덟가지 특징
-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의 유래
-
제1장 극락세계(極樂世界) - 4. 극락세계와 삼계(三界)와의 비교(比較) (1)
-
제3장 왕생(往生)의 예(例) - 4. 극락삼성(極樂三聖)이 극락 왕생을 예보(豫報)
-
11. 중국편 - 백장회해, 대매법상
-
17. 한국편 - 균여(均如) 대사
-
24. 한국편 - 일연선사 ②
-
제1장 극락세계(極樂世界) - 4. 극락세계와 삼계(三界)와의 비교(比較) (3)
-
제3장 왕생(往生)의 예(例) - 2. 왕생을 내보(來報)한 실예(實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