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임제의현(臨濟義玄) 선사
고려(光宗代)스님들이 그의 문하에서 印可받은 이는 圓空등 36인이 있었다 한다. 따라서 法眼宗風이 高麗에서 淨土宗으로 드날림을 보게 되다. 시호는 智覺禪師. 스님의 만선동귀집 結頌에 “鑒無身而具相 建立水月道場 莊嚴性空世界 羅列幻化供具 供養影響如來 大作夢中佛事” 등의 수행생활의 중도를 강조하였다. (송고승전28, 전등록26, 선림승보전9, 통기26, 雪竇寺誌3, 靈隱寺誌5, 영명연수자행록)
[출처 : 염화실] |
13. 중국편 - 임제의현, 영명연수
-
제2장 극락세계의 삼성(三聖) - 4.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 (6)
-
제4장 사바(裟婆)와 극락(極樂)과의 비교(比較) - 1. 삼계(三界)와 극락의 비교
-
제5장 연종(蓮宗)의 염불방법(念佛方法) - 1. 염불(念佛)의 의의(意義)
-
제5장 연종(蓮宗)의 염불방법(念佛方法) - 4. 정행염불(正行念佛) - (9)
-
제8장 유심정토(唯心淨土)와 자성미타(自性彌陀)의 변론(辯論) - 3. 대우선사(大佑禪師)의 설(設)
-
제9장 운명(殞命)의 전후 - 3. 아뢰야식(阿賴耶識)과 중유(中有)
-
13. 중국편 - 임제의현, 영명연수
-
제2장 극락세계의 삼성(三聖) - 4.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 (3)
-
제2장 극락세계의 삼성(三聖) - 5. 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 - (3)
-
제3장 왕생(往生)의 예(例) - 1. 아미타불을 친견(親見)한 실례(實例)
-
제5장 연종(蓮宗)의 염불방법(念佛方法) - 5. 조행염불(助行念佛) - (9)
-
공성(空性)의 여덟가지 특징
-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의 유래
-
제1장 극락세계(極樂世界) - 4. 극락세계와 삼계(三界)와의 비교(比較) (1)
-
제3장 왕생(往生)의 예(例) - 4. 극락삼성(極樂三聖)이 극락 왕생을 예보(豫報)
-
11. 중국편 - 백장회해, 대매법상
-
17. 한국편 - 균여(均如) 대사
-
24. 한국편 - 일연선사 ②
-
제1장 극락세계(極樂世界) - 4. 극락세계와 삼계(三界)와의 비교(比較) (3)
-
제3장 왕생(往生)의 예(例) - 2. 왕생을 내보(來報)한 실예(實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