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조주종심 (趙州從諗, 778-897)
‘瑞像院에서 왔읍니다’ ‘瑞像을 보았는가’ ‘瑞像은 보지 못하고 누워있는 부처를 보았습니다’ ‘네가 주인이 있는 사미냐? 주인이 없는 사미냐?’ ‘주인이 있는 사미입니다.’ ‘주인이 어디 있느냐’ 조주, ‘동짓달이 매우 춥사온데 體候 萬福하시나이까’하니 入室을 허락하다.
唐建寧4년 11월 120세로 입적하였다. 스님의 十二詩歌에 “밤은 깊어 천지는 적막에 휩싸이고/ 어디선가 낙엽지는 소리 하나 둘 들린다./ 출가한 사람이라고 그 누가 증애심이 없겠는가?/ 생각할수록 무심 결에 눈물이 수건을 적신다.” 시호는 眞際大師(송고승전11, 조당집18, 전등록10, 회요6, 회원4)
[출처 : 염화실] |
12. 중국편 - 조주종심, 작소도림
-
11. 중국편 - 백장회해, 대매법상
-
28. 한국편 - 보조지눌(普照知訥) ②
-
30. 한국편 - 함허득통(涵虛得通) 화상 ②
-
제10장 운명(殞命)할 때의 행사(行事) - 6. 법사(法師)는 도행(道行)이 구족(具足)한 이를 청할 것
-
제12장. 염불하여 왕생한 예 - 2. 중국사람 - (9)서뢰(徐雷), (10)정진니(淨眞尼)
-
제1장 극락세계(極樂世界) - 7. 극락세계 장엄(莊嚴)의 종류(種類)와 명칭(名稱)
-
10. 중국편 - 영가현각, 한산습득, 남양혜충
-
제10장 운명(殞命)할 때의 행사(行事) - 8. 왕생의 징조(徵兆)와 서응(瑞應)에 구애되지 말 것
-
제12장. 염불하여 왕생한 예 - 2. 중국사람 - (1)혜원대사(慧遠大師), (2)선도대사(善導大師 )
-
제12장. 염불하여 왕생한 예 - 2. 중국사람 - (5)승예(僧叡), (6)유정지(劉檉之)
-
제12장. 염불하여 왕생한 예 - 1. 우리나라 사람
-
제12장. 염불하여 왕생한 예 - 2. 중국사람 - (15)장선화(張善和)
-
12. 중국편 - 조주종심, 작소도림
-
13. 중국편 - 임제의현, 영명연수
-
제9장 운명(殞命)의 전후 - 5. 중유(中有)의 생연(生緣)을 얻는 기한(期限)
-
제10장 운명(殞命)할 때의 행사(行事) - 2. 운명(殞命)하는 사람은 일심(一心)으로 염불할 것
-
제11장. 구품왕생(九品往生)과 변의(辨疑)
-
제12장. 염불하여 왕생한 예 - 2. 중국사람 - (13)왕씨(王氏), (14)불파(念佛婆)
-
48. 한국편 - 한암선사 ③
-
51. 한국편 - 효봉선사 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