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9 | 연종집요 |
제5장 연종(蓮宗)의 염불방법(念佛方法) - 5. 조행염불(助行念佛) - (2)
|
短長中庸 | 2019.07.15 | 817 |
108 | 연종집요 |
제2장 극락세계의 삼성(三聖) - 4.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 (1)
|
短長中庸 | 2019.07.09 | 366 |
107 | 연종집요 |
제8장 유심정토(唯心淨土)와 자성미타(自性彌陀)의 변론(辯論) - 4. 극락정토 권(權) 실(實)의 변(辯)
|
短長中庸 | 2019.07.22 | 148 |
106 | 연종집요 |
제12장. 염불하여 왕생한 예 - 2. 중국사람 - (11)과인니(果仁尼), (12)독고황후(獨孤皇后)
|
短長中庸 | 2019.07.23 | 72 |
105 | 연종집요 |
제13장. 연종(蓮宗) 사성예문(四聖禮文) - 《終》
|
短長中庸 | 2019.07.23 | 43 |
104 | 연종집요 |
제9장 운명(殞命)의 전후 - 4. 중유(中有)의 작용(作用)
|
短長中庸 | 2019.07.22 | 32 |
103 | 연종집요 |
제10장 운명(殞命)할 때의 행사(行事) - 5. 가족의 주의 할 일
|
短長中庸 | 2019.07.22 | 30 |
102 | 연종집요 |
제10장 운명(殞命)할 때의 행사(行事) - 3. 다른 이는 염불을 권하며 조념(助念)할 것
|
短長中庸 | 2019.07.22 | 29 |
101 | 연종집요 |
제11장. 구품왕생(九品往生)과 변의(辨疑)
|
短長中庸 | 2019.07.22 | 26 |
100 | 연종집요 |
제9장 운명(殞命)의 전후 - 5. 중유(中有)의 생연(生緣)을 얻는 기한(期限)
|
短長中庸 | 2019.07.22 | 25 |
99 | 연종집요 |
제12장. 염불하여 왕생한 예 - 1. 우리나라 사람
|
短長中庸 | 2019.07.22 | 23 |
98 | 연종집요 |
제1장 극락세계(極樂世界) - 7. 극락세계 장엄(莊嚴)의 종류(種類)와 명칭(名稱)
|
短長中庸 | 2019.07.04 | 22 |
97 | 연종집요 |
제12장. 염불하여 왕생한 예 - 2. 중국사람 - (7)문언박(文彦博), (8)왕일휴(王日休)
|
短長中庸 | 2019.07.23 | 22 |
96 | 연종집요 |
제10장 운명(殞命)할 때의 행사(行事) - 1. 서방삼성(西方三聖)의 상(像)을 모실 것
|
短長中庸 | 2019.07.22 | 21 |
95 | 연종집요 |
제12장. 염불하여 왕생한 예 - 2. 중국사람 - (1)혜원대사(慧遠大師), (2)선도대사(善導大師 )
|
短長中庸 | 2019.07.23 | 21 |
94 | 연종집요 |
제12장. 염불하여 왕생한 예 - 2. 중국사람 - (5)승예(僧叡), (6)유정지(劉檉之)
|
短長中庸 | 2019.07.23 | 20 |
93 | 연종집요 |
제10장 운명(殞命)할 때의 행사(行事) - 2. 운명(殞命)하는 사람은 일심(一心)으로 염불할 것
|
短長中庸 | 2019.07.22 | 19 |
92 | 연종집요 |
제10장 운명(殞命)할 때의 행사(行事) - 6. 법사(法師)는 도행(道行)이 구족(具足)한 이를 청할 것
|
短長中庸 | 2019.07.22 | 19 |
91 | 연종집요 |
제10장 운명(殞命)할 때의 행사(行事) - 8. 왕생의 징조(徵兆)와 서응(瑞應)에 구애되지 말 것
|
短長中庸 | 2019.07.22 | 19 |
90 | 연종집요 |
제12장. 염불하여 왕생한 예 - 2. 중국사람 - (13)왕씨(王氏), (14)불파(念佛婆)
|
短長中庸 | 2019.07.23 | 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