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 백곡(白谷)화상 - 척불(斥佛)의 부당성 항의한 대장부 - (2) 법계(法階)와 선교관(禪敎觀) 여말선초에는 태고보우와 나옹혜근의 문하 법손들이 적지 않게 배출되어 법맥을 상승해 왔다. 그러나 곧 이어 단행된 조선 초기의 종파 축소 및 통폐합을 비롯하여, 이후 도첩제 및 승과제의 폐지 등으로 불교계는 종맥가통마저 상실 당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럴 무렵에 서산대사 휴정(1520~ 1604)이 출현하여 선대상전(先代相傳)의 법맥을 확고하게 일으켜 세우고 있음은 이미 주지하는 사실이다. 휴정이 확립한 법맥은 물론 그의 법조 벽송으로부터 영관으로 이어져 온 것이었다.
한국불교의 통불교적 전통은 신라 원효의 화쟁사상(和諍思想)을 그 근원으로 삼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런 원효의 사상이 고려시대에는 의천의 교관겸수로 나타나고 그것은 다시 지눌의 정혜쌍수로 전개되면서 선교일치의 총화적이며 통불교적인 사상의 흐름을 형성해 왔다.
무비 스님
[출처 : 염화실] |
고승열전
2019.12.27 16:03
40. 한국편 - 백곡(白谷)화상 ②
조회 수 22 추천 수 0 댓글 0
번호 | 분류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54 | 고승열전 | 54. 한국편 - 운허용하대사 | 短長中庸 | 2019.12.31 | 27 |
53 | 고승열전 | 53. 한국편 - 효봉선사 ⑤ | 短長中庸 | 2019.12.31 | 26 |
52 | 고승열전 | 52. 한국편 - 효봉선사 ④ | 短長中庸 | 2019.12.31 | 29 |
51 | 고승열전 | 51. 한국편 - 효봉선사 ③ | 短長中庸 | 2019.12.31 | 18 |
50 | 고승열전 | 50. 한국편 - 효봉선사 ② | 短長中庸 | 2019.12.31 | 24 |
49 | 고승열전 | 49. 한국편 - 효봉선사 ① | 短長中庸 | 2019.12.31 | 27 |
48 | 고승열전 | 48. 한국편 - 한암선사 ③ | 短長中庸 | 2019.12.30 | 23 |
47 | 고승열전 | 47. 한국편 - 한암선사 ② | 短長中庸 | 2019.12.30 | 28 |
46 | 고승열전 | 46. 한국편 - 한암선사 ① | 短長中庸 | 2019.12.30 | 25 |
45 | 고승열전 | 45. 한국편 - 용성선사 ③ | 短長中庸 | 2019.12.30 | 26 |
44 | 고승열전 | 44. 한국편 - 용성선사 ② | 短長中庸 | 2019.12.30 | 24 |
43 | 고승열전 | 43. 한국편 - 용성선사 ① | 短長中庸 | 2019.12.30 | 25 |
42 | 고승열전 | 42. 한국편 - 백곡(白谷)화상 ④ | 短長中庸 | 2019.12.27 | 26 |
41 | 고승열전 | 41. 한국편 - 백곡(白谷)화상 ③ | 短長中庸 | 2019.12.27 | 26 |
» | 고승열전 | 40. 한국편 - 백곡(白谷)화상 ② | 短長中庸 | 2019.12.27 | 22 |
39 | 고승열전 | 39. 한국편 - 백곡(白谷)화상 ① | 短長中庸 | 2019.12.27 | 8 |
38 | 고승열전 | 38. 한국편 - 부휴선사(浮休禪師) ④ | 短長中庸 | 2019.12.27 | 6 |
37 | 고승열전 | 37. 한국편 - 부휴선사(浮休禪師) ③ | 短長中庸 | 2019.12.27 | 14 |
36 | 고승열전 | 36. 한국편 - 부휴선사(浮休禪師) ② | 短長中庸 | 2019.12.27 | 26 |
35 | 고승열전 | 35. 한국편 - 부휴선사(浮休禪師) ① | 短長中庸 | 2019.12.27 |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