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마명 보살(馬鳴菩薩)
<중론(中論)>에서 전개한 공(空)의 사상은 그 이후의 모든 불교사상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즉, 실체(實體:自性)를 세우고, 실체적인 원리를 상정(想定)하기 위한 바람직한 자세를 철두철미한 비판을 가하면서, 일체의 것이 다른 것[他]과의 의존 · 상대 · 상관 · 상의(相依)의 관계[緣起] 위에서만 비로소 성립된다고 주장하였다.
그 상관관계는 긍정적 · 부정적 · 모순적 상태 등 여러 형태로 나타나는데, 어느 것에서도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없고 공의 상태에 이를 수 없는 반면 구극(究極)의 절대적 입장[眞諦 · 第一義諦]은 우리의 일상적 진리[俗諦 즉, 世俗諦]로만 성립할 수 있으며, 이를 초월해서는 논의의 대상이나 표현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것이다.
공의 입장에서 본다면 어느 한 쪽에도 치우침이 없는 중도적 입장에 있었기 때문에, 후세에 그의 학파를 가리켜 중관파(中觀派)라고 불렀다. 주요 저서에 <중론> (4권) 외에 <회쟁론(廻諍論)>, <광파론(廣破論)>, <십주비바사론(十住毘婆沙論)>, <공칠십론(空七十論)>, <대지도론(大智度論)> (100권), <십이문론(十二門論)> 등이 있다.
[출처 : 염화실] |
7. 인도편 - 마명보살, 용수보살
-
14. 중국편 - 대혜선사, 고봉원묘
-
13. 중국편 - 임제의현, 영명연수
-
12. 중국편 - 조주종심, 작소도림
-
11. 중국편 - 백장회해, 대매법상
-
10. 중국편 - 영가현각, 한산습득, 남양혜충
-
9. 중국편 - 육조 혜능(六祖慧能) 대사
-
8. 중국편 - 석도안(釋道安)-東普도안, 달마(達磨) 대사
-
7. 인도편 - 마명보살, 용수보살
-
6. 인도편 - 여성 출가와 비구니들
-
5. 인도편 - 십대제자, 출라판타카, 앙굴리말라
-
4. 인도편 - 아누룻다, 라훌라, 난다, 우팔리
-
3. 인도편 - 대가섭과 아난다
-
2. 인도편 - 사리불과 목건련
-
1. 인도편 - 오비구와 카샤파 삼형제
-
제13장. 연종(蓮宗) 사성예문(四聖禮文) - 《終》
-
제12장. 염불하여 왕생한 예 - 2. 중국사람 - (15)장선화(張善和)
-
제12장. 염불하여 왕생한 예 - 2. 중국사람 - (13)왕씨(王氏), (14)불파(念佛婆)
-
제12장. 염불하여 왕생한 예 - 2. 중국사람 - (11)과인니(果仁尼), (12)독고황후(獨孤皇后)
-
제12장. 염불하여 왕생한 예 - 2. 중국사람 - (9)서뢰(徐雷), (10)정진니(淨眞尼)
-
제12장. 염불하여 왕생한 예 - 2. 중국사람 - (7)문언박(文彦博), (8)왕일휴(王日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