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임제의현(臨濟義玄) 선사
고려(光宗代)스님들이 그의 문하에서 印可받은 이는 圓空등 36인이 있었다 한다. 따라서 法眼宗風이 高麗에서 淨土宗으로 드날림을 보게 되다. 시호는 智覺禪師. 스님의 만선동귀집 結頌에 “鑒無身而具相 建立水月道場 莊嚴性空世界 羅列幻化供具 供養影響如來 大作夢中佛事” 등의 수행생활의 중도를 강조하였다. (송고승전28, 전등록26, 선림승보전9, 통기26, 雪竇寺誌3, 靈隱寺誌5, 영명연수자행록)
[출처 : 염화실] |
고승열전
2019.12.20 14:54
13. 중국편 - 임제의현, 영명연수
조회 수 4 추천 수 0 댓글 0
번호 | 분류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426 | 불교용어 |
"중" 과 "스님"의 유래
![]() |
短長中庸 | 2011.12.28 | 22025 |
425 | 보왕삼매론 | 1. 병(病)으로 괴로워 할 때 - 법상스님 | 短長中庸 | 2012.06.18 | 5418 |
424 | 고승열전 | 1. 인도편 - 오비구와 카샤파 삼형제 | 短長中庸 | 2019.12.20 | 24 |
423 | 보왕삼매론 | 10. 억울할 때 - 법상스님 | 短長中庸 | 2012.06.19 | 6803 |
422 | 고승열전 | 10. 중국편 - 영가현각, 한산습득, 남양혜충 | 短長中庸 | 2019.12.20 | 13 |
421 | 보왕삼매론 | 11. 온갖 역경이 나를 휘두를 때 - 법상스님 | 短長中庸 | 2012.06.19 | 5504 |
420 | 고승열전 | 11. 중국편 - 백장회해, 대매법상 | 短長中庸 | 2019.12.20 | 6 |
419 | 고승열전 | 12. 중국편 - 조주종심, 작소도림 | 短長中庸 | 2019.12.20 | 13 |
» | 고승열전 | 13. 중국편 - 임제의현, 영명연수 | 短長中庸 | 2019.12.20 | 4 |
417 | 고승열전 | 14. 중국편 - 대혜선사, 고봉원묘 | 短長中庸 | 2019.12.23 | 2 |
416 | 고승열전 | 15. 한국편 - 의상대사 | 短長中庸 | 2019.12.23 | 1 |
415 | 고승열전 | 16. 한국편 - 혜초(慧超) 화상 | 短長中庸 | 2019.12.23 | 0 |
414 | 고승열전 | 17. 한국편 - 균여(均如) 대사 | 短長中庸 | 2019.12.23 | 6 |
413 | 고승열전 | 18. 한국편 - 균여대사 ② | 短長中庸 | 2019.12.24 | 0 |
412 | 고승열전 | 19. 한국편 - 혜통화상 | 短長中庸 | 2019.12.24 | 2 |
411 | 보왕삼매론 | 2. 근심과 괴로움으로 힘겨울 때 - 법상스님 | 短長中庸 | 2012.06.18 | 5991 |
410 | 고승열전 | 2. 인도편 - 사리불과 목건련 | 短長中庸 | 2019.12.20 | 8 |
409 | 고승열전 | 20. 한국편 - 자장대덕 ① | 短長中庸 | 2019.12.24 | 7 |
408 | 고승열전 | 21. 한국편 - 자장대덕 ② | 短長中庸 | 2019.12.24 | 10 |
407 | 고승열전 | 22. 한국편 - 정중무상 선사 | 短長中庸 | 2019.12.24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