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 백곡(白谷)화상 - 척불(斥佛)의 부당성 항의한 대장부 - (3) 간폐석교소(諫廢釋敎疏)의 의의(意義) 백곡은 문장에 특하였고 또 차원높은 선교관 및 확연한 유불관을 지닌 고승이었다. 그러나 한국불교사에서 그의 존재는 배불정책하의 조선시대에 당당하고 기개에 찬 논조로 국가의 척불에 대해 항소를 제기했던 유일한 승려로서 더욱 크게 부각되어 있다.
한편 함허당 己和처럼《현정론(顯正論)》을 저술하여 유불의 회통성을 주장함으로써 유학자들의 척불론에 대해 불교를 제대로 이해시키고 그 척불론이 잘못된 것임을 지적하는 간접적인 저항활동도 있었다.
이와같은 불교계의 절박한 현실문제가 항소의 직접적인 동기가 된 것이지만, 그러나 도첩제 승과제의 폐지 등 백곡 이전에도 그가 제기한 문제 이상으로 가혹한 척불시책이 강행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즉 양란의 과정에서 의승군의 활동과 그 국가적 기여는 제한적이기는 하나 척불의 도를 둔화시키고 불교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한편 백곡에 앞서 사명의 상소 등이 보여주는 바와 같이 그것이 비록 불교자체와는 무관할 지라도 불교와 국가와의 언로가 잠정적이나마 개설되어 있었으며, 승려의 지위가 어느 정도 상승된 것도 사실이다.
그런 각성의 제자인 백곡은 그의 상소에서 승려들이 국가에 크게 기여하고 있음을 역설하고 있지만, 어쨌든 양란을 통한 불교계의 힘의 성장세를 배경으로 백곡이〈간폐석교소〉와 같은 강력한 항소를 제기할 수 있었으리라는 점 또한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무비 스님
[출처 : 염화실] |
고승열전
2019.12.27 16:14
41. 한국편 - 백곡(白谷)화상 ③
조회 수 34 추천 수 0 댓글 0
-
4. 인도편 - 아누룻다, 라훌라, 난다, 우팔리
-
40. 한국편 - 백곡(白谷)화상 ②
-
41. 한국편 - 백곡(白谷)화상 ③
-
42. 한국편 - 백곡(白谷)화상 ④
-
43. 한국편 - 용성선사 ①
-
44. 한국편 - 용성선사 ②
-
45. 한국편 - 용성선사 ③
-
46. 한국편 - 한암선사 ①
-
47. 한국편 - 한암선사 ②
-
48. 한국편 - 한암선사 ③
-
49. 한국편 - 효봉선사 ①
-
5. 인도편 - 십대제자, 출라판타카, 앙굴리말라
-
5. 일을 시작할 때 - 법상스님
-
50. 한국편 - 효봉선사 ②
-
51. 한국편 - 효봉선사 ③
-
52. 한국편 - 효봉선사 ④
-
53. 한국편 - 효봉선사 ⑤
-
54. 한국편 - 운허용하대사
-
6. 맑은 친구를 사귀고 싶을 때 - 법상스님
-
6. 인도편 - 여성 출가와 비구니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