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야심경(般若心經)
보리살타 의반야바라밀다고
앞의 입의분에서
관세음보살이 깊은 반야바라밀다를 행할 때
오온이 모두 공함을 비추어보고
일체의 고통과 액난에서 벗어났다는 말을 하였습니다.
즉, 오온이라고 설명되는
일체 현상계가 모두 공하다는 사실을
여실한 안목으로 통찰하게 되면
일체의 고통에서 벗어나
해탈의 즐거움을 누릴 수 있다고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이와 같은 절차로써 괴로움을 여의고
깨달음을 이루기 위해서는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수행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사실을 파사분에서는
좀 더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처럼 입의분과 파사분에서 자세히 다루었던
반야바라밀다에 대한 수행의 결과는 과연 무엇인가?
다시 말해, 반야바라밀다에 의지하는 보리살타,
즉, 보살은 과연 어떠한 이익과 공능을 가질 수 있는가에
대한 해답을 바로 이 장에서 찾을 수 있는 것입니다.
출처: 목탁소리(www.moktaksori.org) -법상스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