法句譬喩經 道行品第二十八 법구비유경 제 28 도행품
然悲泣而去。?自念言。我聞瞿曇沙門知人魂神變化之道。當往問之。於是梵志?還
옛날 어떤 바라문이 있었는데 젊은 나이에 집을 떠나 도를 배웠으나 나이 60이 되도록 도를 얻지 못하였다.
바라문 법에는 나이 60이 되도록 도를 얻지 못하면 집으로 돌아가 아내를 맞아 가정을 이루게 되어 있었다. 그래서 그도 가정으로 돌아가 한 아들을 낳았는데 용모가 단정하여 매우 사랑스러웠다. 나이 일곱 살이 되자 글을 가르쳤는데 매우 총명했고, 또 말재주[才辯]가 있어서 말하는 솜씨가 보통 사람보다 뛰어났다. 그러나 갑자기 중병에 걸려 하룻밤 사이에 목숨을 마쳤다.
범지는 몹시 애석하게 여겨 어쩔 줄을 몰라하면서 그 시체 위에 엎드려 기절했다가는 다시 깨어나곤 하였다. 그러자 친척들은 충고하고 달래면서 억지로 시체를 빼앗아 염을 하고 관에 넣어 성 밖에 매장하였다.
범지는 스스로 생각하였다. '내가 지금 아무리 울어봤자 아무런 이익이 없을 테니, 차라리 염라대왕(閻羅大王)에게 가서 아들의 목숨을 구걸해보는 것이 낫겠다.' 이에 범지는 목욕 재계한 뒤 꽃과 향을 가지고 집을 떠나가는 곳마다 사람들에게 물어보았다. "염라대왕이 다스리는 나라는 어디쯤 있습니까?"
이렇게 전전하면서 수천 리를 갔다. 그러다 어느 깊은 산중에 이르렀을 때 여러 득도(得道)한 범지들을 만났는데, 그들에게도 앞에서와 같이 물어보았다. 그러자 여러 범지들은 도리어 그에게 물었다. "그대는 염라대왕이 다스리는 나라를 알아 무엇 하려 하는가?"
그는 곧 대답하였다. "내게는 말재주와 지혜가 남보다 뛰어난 한 아들이 있었는데 얼마 전에 갑자기 죽었소. 슬픔과 괴로움을 씻을 길 없어 염라대왕에게 아들의 목숨을 구걸해 그를 되찾아 집으로 데리고 돌아가서 내 노후(老後)를 돌보게 하려 하오."
여러 범지들은 그의 어리석음을 가엾게 여겨 말하였다. "염라대왕이 다스리는 나라는 산 사람으로서는 갈 수 없소. 우리는 당신에게 다른 방법을 일러주겠소. 여기서 서쪽으로 4백 리를 가면 큰 시내가 있고 그 가운데 성이 있소. 거기는 여러 천신들이 인간 세상을 순찰하다가 머무는 곳이오. 염라대왕은 매달 8일에는 인간 세상을 순찰하다가 반드시 그 성을 지날 것이니, 당신이 재계를 닦고 그곳에 가면 틀림없이 만날 수 있을 것이오."
그러자 범지는 기뻐하면서 그 가르침을 받들고 그 시내에 이르렀다. 그곳엔 좋은 성곽과 아름다운 궁전과 집들이 즐비하게 있어 마치 도리천(?利天)과 같았다. 범지는 그것을 보고 성문에 이르러 향을 사르고 발돋움하고 축원하면서, 염라대왕 만나기를 간청하였다. 염라대왕은 문지기를 시켜 그 이유를 물었다.
범지가 아뢰었다. "늦게서야 아들 하나를 얻어 내 노후를 돌보게 하려고 길렀는데, 일곱 살이 된 요 근래에 그만 목숨을 마쳤습니다. 바라건대 대왕은 은혜를 베푸시어 제 아들의 목숨을 되돌려 주십시오." 염라대왕이 말하였다. "매우 훌륭하다. 그대의 자식은 지금 동쪽 동산에서 놀고 있다. 그대가 직접 가서 데리고 가라."
범지는 곧 그 동산으로 가서, 그 아들이 여러 아이들과 함께 놀고 있는 것을 보고는 쫓아가 안고 울면서 말하였다. "나는 밤낮으로 네 생각에 음식도 맛이 없었고 잠도 자지 못했다. 그런데 너는 정녕 이 부모의 고통을 생각인들 하느냐?"
그러자 아이는 놀라 외치고 도로 꾸짖으면서 말하였다. "미련한 이 노인은 아무 이치도 모르는구려. 잠깐 동안 몸을 의탁한 나를 아들이라 부르는구려. 부질없는 잔소리하지 말고 빨리 떠나시오. 나는 지금 이 세간에 내 부모가 따로 있거늘 황당하게 만나자마자 왜 껴안는 것이오."
범지는 실망하고 슬피 울면서 그곳을 떠나와서는 가만히 생각하였다. '내가 들으니 사문 구담(瞿曇)은 사람의 영혼이 변화하는 이치를 잘 아신다고 한다. 지금 가서 물어보리라.' 그래서 범지는 이내 돌아와 부처님께 갔는데, 그 때 부처님께서는 사위국 기원정사에서 대중을 위해 설법하고 계셨다. 범지는 부처님을 뵙고 머리를 조아려 예배한 뒤, 그 동안의 사정을 자세히 아뢰고 물었다.
"그 아이는 진실로 내 아들임이 분명한데 나를 알아 보지도 못할 뿐더러 도리어 나를 어리석은 늙은이라 불렀습니다. 그리고 잠깐 동안 몸을 의탁한 나를 아들이라 부르냐고 하면서 전혀 부자(父子)의 정이 없었습니다. 무엇 때문에 그렇습니까?"
부처님께서 범지에게 말씀하셨다. "그대는 참으로 어리석다. 사람이 죽으면 영혼은 떠나 곧 다른 곳에서 몸을 받는다. 부모와 처자의 인연으로 모여 사는 것은 마치 여관의 나그네가 아침에 일어나면 이내 흩어지는 것과 같은 이치이거늘 어리석고 미혹하여 얽매어 집착하고 있구나. 그것을 자기 소유라 생각하고 근심하고 슬퍼하며 괴로워하고 번민하면서도 근본을 알지 못하고 있구나. 그것은 생사에 빠져 헤매기를 그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지혜로운 사람은 은정(恩情)과 애욕에 탐착하지 않고 그 괴로움을 깨달아 그 원인[習]을 버리며 부지런히 법과 계율을 닦아 온갖 생각을 없애버리고 생사를 끝내게 되는 것이다.
啓 : ?의 대치,(열 계)이체자
於是世尊?說偈言。
그리고 세존께서 다시 게송을 말씀하셨다.
사람이 아내와 자식을 보살피면서 병이 되는 법을 관찰하지 못하면 죽음이 갑자기 들이닥치는데 마치 여울물의 빠름과 같네.
부모자식 간에도 구제하지 못하거늘 다른 친척에게서 무엇을 바랄 건가 목숨이 다할 때 친한 이를 믿는 것은 장님이 등불을 지키는 것 같다.
지혜로운 사람은 이런 이치 알아 경계(經戒)를 부지런히 닦고 열심히 실천하여 세상일 벗어나 모든 괴로움 떨어버린다.
생사의 깊은 못 멀리하기를 바람이 구름을 쓸어버리듯 하라 이미 온갖 생각 없애버리면 그를 지견(知見) 있는 이라 하리라.
지혜란 이 세상에 으뜸인 것 마음이 깨끗하여 함[爲]이 없으면 바른 가르침 받은 대로 나고 죽음 다하게 되리.
륵 : ? (나머지 륵)
범지는 이 게송을 듣고 마음이 탁 트여 목숨은 덧없는 것이며 처자는 손님과 같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래서 머리를 조아리고 온몸을 맡겨 자세히 여쭙고는 사문이 되기를 원하였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좋다." 그러자 그의 수염과 머리털이 저절로 떨어지고 법복이 몸에 입혀져, 이내 비구가 되었다. 그는 게송의 이치를 깊이 생각하면서 애욕을 없애고, 잡념을 끓고 그 자리에서 아라한도를 증득하였다.
한문출처 : 중화전자불전협회(中華電子佛典協會:CBETA) 대정신수대장경(大正新修大藏經) 국역출처 : 동국역경원 전자불전연구소 한글대장경 퍼온곳 : 나를 찾는 불공(네이버 카페) |
법구비유경
2013.11.21 15:06
[법구비유경 法句譬喩經] 제28 도행품(第二十八 道行品)
조회 수 1955 추천 수 0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