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산스님의 달마록선해]
달마혈맥론
12. 마음은 안과 밖이 없다
[원문]
자성을 보면 부처이고 자성을 보지 못하면 중생이니라. 중생의 성품을 떠나서 따로 부처의 성품을 얻을 수 있다고 말한다면 부처는 지금 어디에 있느냐? 중생의 성품이 곧 부처의 성품이니라. 성품을 떠나서는 부처가 없느니라. 부처가 곧 성품이니 이 성품을 떠나서는 부처가 될 수 없고 부처를 떠나서는 성품을 얻을 수 없느니라.
‘흑백도 가릴 줄 모르면서 무엇에 의지하여 생사를 면하겠느냐.’
그 자리가 부처님임을 믿고 거기에 마음을 두고 화두를 들거나 또는 염불을 하는 것이 바로 성품에 마음을 두고 수행을 하는 것입니다. 생각 이전의 자리에 의지를 해야 한다는 얘깁니다. 우리는 본래 부처의 성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자리에 마음을 두고 정진할 때 깨달을 수 있습니다.
한생각(一念) 이전의 자리가 부처였구나! 그 자리가 나의 본래 자리이고 우주의 근본 자리였구나! 이것을 아는 순간 견성했다고 이야기 하는 겁니다. 자성을 보는 순간이라고 할 수도 있겠죠. 그래서 자성을 보면 부처이고 자성을 보지 못하면 중생이라고 말씀하시는 겁니다.
절을 할 때도 내 본래 마음자리에 두고 절을 해야 한다는 얘깁니다. 그렇게 해야 우리들 마음이 부처님자리로 다가가는 것입니다. 합장을 할 때도 우주를 상대로 한 감사의 표현이어야 합니다.
우리의 그런 행위가 우주를 상대로 하는 위대한 마음의 세계로 가는 길입니다. 알고 보면 쉬운 일이지만 과거로부터 익혀온 습(習)이 너무나 무겁기 때문에 알면서도 습을 못 떼는 겁니다.
부처가 곧 성품이니 이 성품을 떠나서는 부처가 될 수 없고 부처를 떠나서는 성품을 얻을 수 없느니라.’
지금 보고 듣고 분별하고 있기 때문에 번뇌라고 하는 것이고 진짜 마음 자리는 이름을 떠난 자리로서 어떤 표현도 할 수가 없으므로 그 자리를 이름하여 ‘부처’라고 표현을 하는 겁니다. 그 자리에 여러분들이 마음을 두고 정진 하시면 바로 업(業)도 맑아지고 그 자리로 돌아가는 겁니다.
전생의 습이 금생에 이어진다고 말을 했듯이, 여러분이 금생에 그 자리에 마음을 두고 정진하면 다음 생에 태어나 불교를 믿지 않더라도 진리의 눈을 금방 뜰 수가 있다는 얘깁니다. 성품 자리에 마음을 두고 꾸준히 정진하시다 보면 언젠가 눈을 뜨게 됩니다.
그러니 우리는 깨달아야 합니다. ‘마음 밖에 불성이 따로 없다’는 말씀에 눈을 뜨면 마음은 안과 밖이 없습니다. 대자유인이 되는 겁니다. 여러분 다 같이 반야바라밀 수행으로 성품을 깨달으시기를 지극한 마음으로 기원합니다.
출처 : 나를 찾는 불공 |
덕산스님
2018.09.20 15:01
12. 마음은 안과 밖이 없다
조회 수 17 추천 수 0 댓글 0
번호 | 분류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0 | 덕산스님 | 30. 애욕은 본래 공적한 것 | 短長中庸 | 2018.10.11 | 54 |
29 | 덕산스님 | 29. 알음알이 수행은 중생의 업보 | 短長中庸 | 2018.10.11 | 40 |
28 | 덕산스님 | 28. 견성 한 후 법을 설하라 | 短長中庸 | 2018.10.10 | 35 |
27 | 덕산스님 | 27. ‘습’다하면 저절로 밝아진다 | 短長中庸 | 2018.10.10 | 44 |
26 | 덕산스님 | 26. 업은 법신을 구속하지 못한다 | 短長中庸 | 2018.10.10 | 30 |
25 | 덕산스님 | 25. 업을 쉬고 정신을 길러라 | 短長中庸 | 2018.10.10 | 25 |
24 | 덕산스님 | 24. 빈궁·괴로움 모두 망상에서 생겨 | 短長中庸 | 2018.10.10 | 33 |
23 | 덕산스님 | 23. 모든 움직임이 지혜의 성품 | 短長中庸 | 2018.10.05 | 33 |
22 | 덕산스님 | 22. 보이는 것은 다 마음의 그림자 | 短長中庸 | 2018.10.05 | 26 |
21 | 덕산스님 | 21. 모양 있는 것은 모두 허망하다 | 短長中庸 | 2018.10.05 | 32 |
20 | 덕산스님 | 20. 여래의 법신은 변하지 않는다 | 短長中庸 | 2018.09.27 | 29 |
19 | 덕산스님 | 19. 마음의 크기를 아는가? | 短長中庸 | 2018.09.27 | 23 |
18 | 덕산스님 | 18. 부처 아닌 존재가 없다 | 短長中庸 | 2018.09.27 | 27 |
17 | 덕산스님 | 17. 본심은 나고 죽음이 없다 | 短長中庸 | 2018.09.27 | 29 |
16 | 덕산스님 | 16. 본심이 보고 듣고 생각한다 | 短長中庸 | 2018.09.27 | 31 |
15 | 덕산스님 | 15. 반연하는 생각을 쉬어라 | 短長中庸 | 2018.09.27 | 18 |
14 | 덕산스님 | 14.구하는 마음 없이 닦아라 | 短長中庸 | 2018.09.27 | 22 |
13 | 덕산스님 | 13. 미혹한 수행 윤회 면치 못해 | 短長中庸 | 2018.09.20 | 14 |
» | 덕산스님 | 12. 마음은 안과 밖이 없다 | 短長中庸 | 2018.09.20 | 17 |
11 | 덕산스님 | 11. 성품 본 사람이 곧 선지식 | 短長中庸 | 2018.09.20 | 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