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산스님의 달마록선해]
달마혈맥론
15. 반연하는 생각을 쉬어라
[원문]
부처는 계율을 지니지도 아니하고 범하지도 아니하며, 선을 닦지도 않고 악을 짓지도 아니하며, 정진을 하지도 아니하며 게으르지도 않으니, 인위적으로 만들어지지 않는 것이니라. 무엇에라도 집착하는 마음이 있으면 부처라 할 수 없느니라. 부처라 하면 부처가 아니니 부처라는 견해를 가지지 말지니라. 이 뜻을 알지 못하면 언제 어디서나 본심을 알 수가 없느니라.
달마 대사께서는 ‘한 마음이나 한 작용이나 한 생각이나 한 소견에라도 집착을 하면 부처가 될 수 없다’고 하셨습니다. 반야자리에 마음을 두면 어떤 생각이 들 수도 없고 어떤 것에도 집착할 필요가 없다는 말입니다.
그래서 혜능 스님께서도 <금강경>에 ‘응당 머무르는 바 없이 마음을 써라(應無所住而生其心)’는 구절을 듣고 눈을 떴던 것입니다. 우리가 집착이 없는 마음으로 마음을 쓰면 그것이 곧 부처라는 말씀입니다. 그것이 곧 괴로움에서 벗어나는 길입니다.
우리가 무언가를 얻었다는 생각이 든 것도 실제로 얻은 것이 아니고, 깨달았다고 생각을 해도 깨달은 것이 아닙니다. 그 어떤 표현을 할 수 없는 자리이기 때문에 그 자리를 두고 달마 스님께서 이렇게 말씀하고 계신 겁니다.
우리의 성품자리는 모양도 없고 이름도 없는 자리로, 억겁 전이나 억겁 후나 항상 그 자리이니 닦을 것도 없고 깨달을 것도 없고, 원인도 없고 결과도 없고, 선도 악도 끊어진 자리로 돌아간 부처님 경지를 말합니다.
성품을 보지 못하였다면 언어 이전의 자리에 마음을 두고 성성하게 깨어 있어야지 그렇지 않고 ‘본래 부처다, 마음이 부처다’ 하고만 있으면 무기공(無記空: 아무 생각도 없이 멍청한 상태)에 빠지며 무명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깨달음에 도달하지 못한다는 가르침입니다.
<육조단경>에선 일상삼매(一相三昧)와 일행삼매(一行三昧)라는 말로 이를 표현하셨습니다. 즉, ‘일상삼매’란 우주를 하나로 보는 견해를 말하며 ‘일행삼매’란 하나에 마음을 두고 끊임없이 정진함을 말합니다. 과거의 습(習)을 녹이는 정진을 통해 경계에 끄달려 가지 않는 무념(無念)의 경지에 도달해야 마음을 쉴 수 있을 것입니다.
출처 : 나를 찾는 불공 |
덕산스님
2018.09.27 14:48
15. 반연하는 생각을 쉬어라
조회 수 18 추천 수 0 댓글 0
번호 | 분류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0 | 덕산스님 | 30. 애욕은 본래 공적한 것 | 短長中庸 | 2018.10.11 | 54 |
29 | 덕산스님 | 29. 알음알이 수행은 중생의 업보 | 短長中庸 | 2018.10.11 | 40 |
28 | 덕산스님 | 28. 견성 한 후 법을 설하라 | 短長中庸 | 2018.10.10 | 35 |
27 | 덕산스님 | 27. ‘습’다하면 저절로 밝아진다 | 短長中庸 | 2018.10.10 | 44 |
26 | 덕산스님 | 26. 업은 법신을 구속하지 못한다 | 短長中庸 | 2018.10.10 | 30 |
25 | 덕산스님 | 25. 업을 쉬고 정신을 길러라 | 短長中庸 | 2018.10.10 | 25 |
24 | 덕산스님 | 24. 빈궁·괴로움 모두 망상에서 생겨 | 短長中庸 | 2018.10.10 | 33 |
23 | 덕산스님 | 23. 모든 움직임이 지혜의 성품 | 短長中庸 | 2018.10.05 | 33 |
22 | 덕산스님 | 22. 보이는 것은 다 마음의 그림자 | 短長中庸 | 2018.10.05 | 26 |
21 | 덕산스님 | 21. 모양 있는 것은 모두 허망하다 | 短長中庸 | 2018.10.05 | 32 |
20 | 덕산스님 | 20. 여래의 법신은 변하지 않는다 | 短長中庸 | 2018.09.27 | 29 |
19 | 덕산스님 | 19. 마음의 크기를 아는가? | 短長中庸 | 2018.09.27 | 23 |
18 | 덕산스님 | 18. 부처 아닌 존재가 없다 | 短長中庸 | 2018.09.27 | 27 |
17 | 덕산스님 | 17. 본심은 나고 죽음이 없다 | 短長中庸 | 2018.09.27 | 29 |
16 | 덕산스님 | 16. 본심이 보고 듣고 생각한다 | 短長中庸 | 2018.09.27 | 31 |
» | 덕산스님 | 15. 반연하는 생각을 쉬어라 | 短長中庸 | 2018.09.27 | 18 |
14 | 덕산스님 | 14.구하는 마음 없이 닦아라 | 短長中庸 | 2018.09.27 | 22 |
13 | 덕산스님 | 13. 미혹한 수행 윤회 면치 못해 | 短長中庸 | 2018.09.20 | 14 |
12 | 덕산스님 | 12. 마음은 안과 밖이 없다 | 短長中庸 | 2018.09.20 | 17 |
11 | 덕산스님 | 11. 성품 본 사람이 곧 선지식 | 短長中庸 | 2018.09.20 | 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