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3 | 용수보살 중론 |
[십이문론 十二門論] 12. 발생을 관찰하는 문(觀生門) - 《終》
|
短長中庸 | 2020.03.30 | 24 |
402 | 용수보살 중론 |
[십이문론 十二門論] 11. 삼시를 관찰하는 문(觀三時門)
|
短長中庸 | 2020.03.30 | 20 |
401 | 용수보살 중론 |
[십이문론 十二門論] 10. 짓는 자를 관찰하는 문(觀作者門) ③
|
短長中庸 | 2020.03.30 | 22 |
» | 용수보살 중론 |
[십이문론 十二門論] 10. 짓는 자를 관찰하는 문{觀作者門) ②
|
短長中庸 | 2020.03.30 | 33 |
399 | 용수보살 중론 |
[십이문론 十二門論] 10. 짓는 자를 관찰하는 문{觀作者門) ①
|
短長中庸 | 2020.03.30 | 20 |
398 | 용수보살 중론 |
[십이문론 十二門論] 9. 원인과 결과를 관찰하는 문(觀因果門)
|
短長中庸 | 2020.03.30 | 21 |
397 | 용수보살 중론 |
[십이문론 十二門論] 8. 자성을 관찰하는 문(觀性門)
|
短長中庸 | 2020.03.30 | 23 |
396 | 용수보살 중론 |
[십이문론 十二門論] 7. 유와 무를 관찰하는 문(觀有無門)
|
短長中庸 | 2020.03.30 | 24 |
395 | 용수보살 중론 |
[십이문론 十二門論] 6. 같음과 다름을 관찰하는 문(觀一異門)
|
短長中庸 | 2020.03.24 | 25 |
394 | 용수보살 중론 |
[십이문론 十二門論] 5. 상이 있는 것과 상이 없는 것을 관찰하는 문(觀有相無相門)
|
短長中庸 | 2020.03.24 | 21 |
393 | 용수보살 중론 |
[십이문론 十二門論] 4. 상을 관찰하는 문(觀相門) ③
|
短長中庸 | 2020.03.23 | 25 |
392 | 용수보살 중론 |
[십이문론 十二門論] 4. 상을 관찰하는 문(觀相門) ②
|
短長中庸 | 2020.03.23 | 26 |
391 | 용수보살 중론 |
[십이문론 十二門論] 4. 상을 관찰하는 문(觀相門) ①
|
短長中庸 | 2020.03.23 | 25 |
390 | 용수보살 중론 |
[십이문론 十二門論] 3. 연을 관찰하는 문(觀緣門)
|
短長中庸 | 2020.03.23 | 27 |
389 | 용수보살 중론 |
[십이문론 十二門論] 2.결과가 있다는 것과 결과가 없다는 것을 관찰하는 문(觀有果無果門) ④
|
短長中庸 | 2020.03.16 | 23 |
388 | 용수보살 중론 |
[십이문론 十二門論] 2.결과가 있다는 것과 결과가 없다는 것을 관찰하는 문(觀有果無果門) ③
|
短長中庸 | 2020.03.16 | 8 |
387 | 용수보살 중론 |
[십이문론 十二門論] 2.결과가 있다는 것과 결과가 없다는 것을 관찰하는 문(觀有果無果門) ②
|
短長中庸 | 2020.03.16 | 6 |
386 | 용수보살 중론 |
[십이문론 十二門論] 2.결과가 있다는 것과 결과가 없다는 것을 관찰하는 문(觀有果無果門) ①
|
短長中庸 | 2020.03.16 | 4 |
385 | 용수보살 중론 |
[십이문론 十二門論] 1. 인과 연들을 관찰하는 문(觀因緣門) ②
|
短長中庸 | 2020.03.16 | 6 |
384 | 용수보살 중론 |
[십이문론 十二門論] 1. 인과 연들을 관찰하는 문(觀因緣門) ①
|
短長中庸 | 2020.03.16 |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