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경상(鏡像)과 정혜(定慧)
"말이 없고 설함이 없음이 곧 선정이라 하니, 바로 말하고 설할 때도 선정이라 할 수 있습니까?" '비유컨대 밝은 거울이 모습을 비출 때에 그 밝음이 움직이느냐?' 왜냐하면 밝은 거울의 작용에는 밝게 비친다는 정(情)이 없으므로 비출 때도 움직이지 않고 비추지 아니할 때도 움직이지 않는 것이니라. 어째서 그러냐 하면 분별의 정(情)이 없는 가운데에는 움직이는 것도 없고 움직이지 않는 것도 없기 때문이니라. 또, '햇빛이 세상을 비출 때 그 빛이 움직이느냐?' 왜냐하면 빛이 분별의 정(情)이 없기 때문이니 정이 없음으로써 빛이 비추므로 움직이지 아니하며 비추지 않을 때도 또한 움직이지 아니 하느니라. 비춘다 함은 지혜요, 움직이지 아니한다 함은 선정이니 보살이 선정과 지혜를 함께한 법을 써서 삼먁삼보리를 얻는 까닭에 선정과 지혜를 함께 씀이 곧 해탈이라고 하느니라. 지금 정(情)이 없다고 말하는 것은 범부의 정이 없음이요, 성인의 정이 없는 것이 아니니라"
22. 언어도단심행처멸(言語道斷心行處滅)
"경에 이르기를 '언어의 길이 끊어지고 마음 가는 곳이 없어진다'고 하니 그 뜻이 어떠합니까?" 마음 가는 곳이 없어진다고 하는 것은 중도실제의 뜻을 얻어서 다시 관(觀)을 일으키지 아니함을 말함이니, 관(觀)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곧 나는 것이 없음(無生)이니라. 나는 것이 없는 까닭에 곧 모든 색의 성품이 공한 것이니 색의 성품이 공한 까닭에 곧 만가지 인연이 함께 끊어짐이요, 만가지 인연이 함께 끊어짐이 곧 마음가는 곳이 없어진 것이니라."
"여여란 어떤 것입니까?"
"색에 즉하고 공에 즉하며 범에 즉하고 성에 즉함이 돈오입니까?"
"경에 이르기를 '다함과 다함 없음의 법문'이란 무슨 뜻입니까?" 출처 : 디지털불교 |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1 | 돈오입도요문론 [頓悟入道要門論] 46~52 | 단장중용 | 2023.01.16 | 9 |
10 | 돈오입도요문론 [頓悟入道要門論] 41~45 | 단장중용 | 2023.01.16 | 8 |
9 | 돈오입도요문론 [頓悟入道要門論] 36~40 | 단장중용 | 2023.01.16 | 9 |
8 | 돈오입도요문론 [頓悟入道要門論] 31~35 | 단장중용 | 2023.01.16 | 9 |
7 | 돈오입도요문론 [頓悟入道要門論] 26~30 | 단장중용 | 2023.01.13 | 14 |
» | 돈오입도요문론 [頓悟入道要門論] 21~25 | 단장중용 | 2023.01.13 | 9 |
5 | 돈오입도요문론 [頓悟入道要門論] 16~20 | 단장중용 | 2023.01.13 | 12 |
4 | 돈오입도요문론[頓悟入道要門論] 11~15 | 단장중용 | 2023.01.13 | 15 |
3 | 돈오입도요문론[頓悟入道要門論] 6~10 | 단장중용 | 2023.01.13 | 10 |
2 | 돈오입도요문론[頓悟入道要門論] 1~5 | 단장중용 | 2023.01.13 | 12 |
1 | 돈오입도요문론[頓悟入道要門論] - 머리말 | 단장중용 | 2023.01.13 | 96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