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세상은 마음

26. 불생불멸(不生不滅)

 

"경에 이르기를 '나지도 않고 없어지지도 않는다'고 하니 어떤 법이 나지 아니하며 어떤 법이 없어지지 아니하는 것입니까?"
"착하지 않음이 나지 않음이요, 착한 법은 없어지지 아니 하느니라."
"어떤 것이 착함이며, 어떤 것이 착하지 않음입니까?"
"착하지 않음이란 염루심(染漏心)이요, 착한 법이란 염루심이 없음이니 다만 염루가 없으면 곧 착하지 않음이 나지 않음이며, 염루가 없음을 얻었을 때에 곧 청정하고 둥글고 밝아 담연히 항상 고요해서 마침내 움직이지 아니하므로 착한 법이 없어지지 않는다고 하는 것이니, 이것이 곧 나지도 아니하고 없어지지도 아니한 것이니라."

 


27. 불계(佛戒)는 청정심(淸淨心)

 

"[보살계]에 이르기를 '중생이 부처님 계를 받으면 곧 모든 부처님의 지위에 들어가는지라 지위가 대각과 같아서 참으로 모든 부처님의 아들이다'고 하시니 그 뜻이 무엇입니까?"
"부처님의 계란 청정한 마음이니 만약 어떤 사람이 발심하여 청정행을 수행하여 받는 바가 없는 마음을 얻은 사람은 부처님의 계를 받았다고 하느니라.
과거의 모든 부처님도 다 청정하여 받음이 없는 행을 닦아서 불도를 이룬 것이니, 
지금 어떤 사람이 발심하여 받음이 없는 청정행을 닦는 사람은 곧 부처님과 더불어 공덕을 균등하게 써서 다름이 없느니라. 그러므로 모든 부처님 지위에 들어간다고 말하는 것이니 이렇게 깨달은 사람은 부처님과 더불어 깨달음이 같으므로 지위가 대각과 같아서 참으로 모든 부처님의 아들이라고 하느니라. 청정한 마음으로부터 지혜가 나는지라 지혜가 청정함을 이름하여 모든 부처님의 아들이라고 하며 또한 이 부처님의 아들이라고 하느니라."

 


28. 불(佛)과 법(法)의 선후(先後)

 

"부처님과 법에 있어서 부처님이 앞입니까, 법이 앞입니까? 만약 법이 앞이라고 하
면 법은 어찌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바이며, 만약 부처님이 앞이라고 하면 어떤 가
르침을 이어 받아서 도를 이룬 것입니까?"
"부처님은 법보다 앞에 있기도 하고 법의 뒤에 있기도 하느니라."
"어찌하여 부처와 법에 앞뒤가 있읍니까?"
"만약 적멸법에 의거하면 법이 앞이요 부처님이 뒤이며, 문자법에 의거하면 부처님
이 앞이요 법은 뒤이니라. 왜냐하면 일체 모든 부처님이 모두 적멸법에 의해서 성
불을 했으므로 곧 법이 앞이요 부처님은 뒤이니, 경에서 이르기를 '모든 부처님의 
스승됨은 이른바 법이다'고 하였느니라. 성도하고 나서 비로소 십이부경을 널리 설
하여 중생을 인도하여 교화하시니 중생이 부처님 법의 가르침을 받아서 수행하여 
성불하므로 곧 부처님이 앞이요 법은 뒤인 것이니라."

 


29. 설통(說通)과 종통(宗通)

 

"어떤 것이 설법은 통하고 종취는 통하지 못한 것입니까?"
"말과 행동이 서로 틀림이 곧 설법은 통하고 종취는 통하지 못한 것이니라."
"어떤 것이 종취도 통하고 설법도 통한 것입니까?"
"말과 행동이 차이가 없음이 곧 설법도 통하고 종취도 통한 것이니라."

 


30. 도(到)와 부도(不到)

 

"경에 이르기를 '이르되 이르지 아니하고 이르지 않되 이른 법'이란 무엇입니까?"
"말은 이르러도 행은 이르지 못함이 이르렀으나 이르지 못함이요, 행은 이르러도 말은 이르지 못함이 이르지 않되 이르른 것이며, 행과 말이 함께 이르름이 이르고 이름이라 하느니라."
 

출처 : 디지털 불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