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세상은 마음

이때 금강장보살이 대중 가운데 있다가 얼른 자리에서 일어나 부처님 발에 이마를 대어 예를 올리고 오른쪽으로 세 바퀴 돌고는 단정히 무릎을 꿇고 합장하고 부처님께 아뢰었다.
“대비하신 세존이시여, 일체 보살들을 위하시어 여래 원각의 청정한 큰 다라니와 인지(因地)의 법다운 행과 점차와 방편을 널리 말씀하였사오며, 모든 중생들의 어리석음을 깨우쳐 주셨으니, 이 모임에 모여 법을 들은 대중들은 부처님의 인자한 가르침을 받아 환(幻)의 가림이 환하게 열려서 지혜의 눈이 깨끗해졌나이다.
세존이시여, 만일 중생들이 본래부터 부처였다면 무슨 까닭으로 다시 온갖 무명(無明)이 있습니까? 만일 온갖 무명이 중생들에게 본래부터 있는 것이라면 무슨 까닭으로 여래는 또 본래부터 부처였다고 하옵나이까? 만일 시방의 다른 중생들이 본래 부처의 도를 이루었다가 나중에 무명을 일으켰다 한다면 일체의 여래는 언제 다시 온갖 번뇌를 일으켰겠습니까? 바라옵건대 막음 없는[無遮] 큰 자비를 버리지 마시고 여러 보살들을 위하여 비밀장(秘密藏)을 열어 주시
고, 말법 세계의 일체 중생들로 하여금 이와 같은 수다라(修多羅)의 요의(了義) 법문을 듣고 의심과 뉘우침을 영원히 끊게 하여 주옵소서.”
이렇게 말하고 오체투지하며, 이와 같이 세 번 청하여 거듭거듭 되풀이하였다.


그때 세존께서 금강장보살에게 말씀하셨다.
“훌륭하고 훌륭하도다, 선남자야. 그대들은 지금 보살들과 말법 세계의 중생들을 위하여 여래께 매우 깊고 비밀한 구경(究竟)의 방편을 묻는구나. 이것은 보살들의 가장 높은 가르침인 요의 대승(了義大乘)으로서 시방의 도를 닦는 보살들과 말법 세계의 일체 중생들로 하여금 결정된 믿음을 얻어 영원히 의혹과 뉘우침을 끊게 하는 일이구나. 그대들은 지금 자세히 들으라. 이제 그대들을 위하여 말해 주리라.”
그때 금강장보살은 분부를 받들고는 기뻐하면서 대중들과 함께 조용히 귀를 기울이고 기다렸다.
“선남자야, 일체 세계의 시작과 마침․나고 없어짐․앞과 뒤․있고 없음․모이고 흩어짐과 일어나고 멈춤이 잠깐잠깐 사이에도 계속되어, 돌고 돌아 오가는 것이니, 가지가지로 취했다 버렸다 함이 모두가 윤회(輪廻)이니라. 아직 윤회를 벗어나지 못한 채 원각을 분별하려고 하는 것은 곧 그 원각의 성품마저 함께 굴러다닐 것이 되니, 설령 윤회를 면하려고 한들 그렇게 될 수가 없으리라. 비유하건대 마치 눈을 깜작이면 잠잠한 물이 흔들리는 듯 하는 것과 같으며, 또 고정되어 있는 눈이 불이 빙빙 도는 것을 따라 빙빙 도는 것과 같으며, 구름이 흘러가매 달이 움직이는 듯이 보이는 것과 같고, 배가 가매 언덕이 이동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과 같으니라.


선남자야, 모든 빙빙 도는 것이 그치기 전에는 저 물건이 먼저 멈추는 일이 없을 것이거늘, 하물며 생사에 윤회하는 때 묻은 마음이 일찍이 청정해지기 전에 부처님의 원각을 보려고 한다면 어찌 뒤바뀌지 않을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그대들이 곧 세 가지의 미혹을 내고 있느니라.
선남자야, 비유하건대 눈병의 가림 때문에 망령되게 허공 꽃을 보다가 앓던 눈에 가림이 없어지면, ‘그 가림이 이미 없어졌으니, 언제 다시 일체의 가림이 일어나겠는가’ 하고 말하지 않아야 한다. 왜냐하면 가림과 허공 꽃 두 가지 법이 서로 기다리지 않기 때문이니라. 또한 허공 꽃이 허공에서 없어졌을 적엔 ‘허공에서 언제 다시 허공 꽃이 생기겠는가’ 하고 말하지 않아야 하는 경우와 같으니라. 왜냐하면 허공에는 본래 꽃이 없어서, 생기거나 사라지지 않기 때문이니라. 생사와 열반도 그와 같이 일어났다 없어졌다 하지만, 미묘한 깨달음이 원만하게 비치는 데는 허공 꽃도 눈병의 가림도 여의었느니라.
선남자야, 꼭 알아야 한다. 허공은 잠시도 있는 것이 아니요, 잠시도 없는 것이 아니다. 하물며 다시 여래의 원각이 수순하여 허공의 평등한 근본 성품이 되어 주는 것이겠는가.


선남자야, 비유하건대 금광을 녹이는 것과 같아서 금은 녹임으로써 생기는 것이 아니며, 이미 순금[金]을 이룩하고 나면 다시는 광석이 되지 않고, 무궁한 시간이 지나도록 금의 본성은 무너지지 않나니, 본래부터 성취된 것이 아니라고 말하지 말지니라. 여래의 원각(圓覺)도 이와 같으니라.
선남자야, 일체 여래의 미묘한 원각의 마음은 본래 보리와 열반이 없는 것이며, 또한 부처가 되었느니 부처가 되지 않았느니 하는 것도 없으며, 허망한 윤회함과 윤회하지 않음도 없느니라.
선남자야, 다만 성문(聲聞)들이 뚜렷이 여기는 경계(즉 有餘 涅槃을 말함)로 몸과 마음과 말이 모두 끊어져 없어졌더라도 끝내 그들이 직접 증득하여 나타난 열반에는 미치지 못하거늘 하물며 사유(思惟)함이 있는 마음으로 여래 원각의 경계를 헤아릴 수 있겠는가? 비유하면 마치 반딧불로 수미산(須彌山)을 태우려 하여도 마침내는 불조차 붙일 수 없는 것처럼, 윤회하는 마음으로 윤회하는 소견을 내어서 여래의 큰 적멸의 바다에 들려고 하여도 끝내 이르지 못
할 것이니라. 그러므로 나는 일체 보살과 말법 세계 중생들은 먼저 끝없는 윤회의 근본을 끊으라고 말하느니라.


선남자야, 작용이 있는 생각은 유위(有爲)의 마음에서 일어난 것이니, 모두가 6진(塵)의 망상을 조건으로 한 기운일지언정 진실한 마음의 본체는 아니니라. 이미 허공 꽃과 같은 것인데 이러한 생각으로써 부처님의 경계를 따지려 하는 것은 마치 허공 꽃이 다시 허공에서 열매를 맺는 것과 같아서 한층 더한 망상일 뿐이니, 그런 이치는 없느니라.
선남자야, 허망하고 들뜬 마음이 교묘한 온갖 소견이 많으나 원각의 방편은 성취할 수 없나니, 이와 같은 분별은 올바른 질문이 아니니라.”
그때 세존께서 이 이치를 거듭 펴시기 위하여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금강장이여, 그대 마땅히 알라.
여래의 적멸한 성품은
애초부터 처음과 시작이 없나니
만약 윤회하는 마음으로써
따진다면 곧 뒤바뀌어서
다만 윤회의 테두리에 들 뿐이요
부처님의 바다에는 들 수 없으리.


비유하면 금광석[金鑛]을 녹이는데
금은 녹여서 생겨나는 것이 아니요,
본래부터 금인 것이니
결국에 녹여서
한 번 순금이 되고 나면
다시는 광석이 되지 않음과 같네.


생사(生死)와 열반
범부와 모든 부처님이
똑같은 허공 꽃의 모습이라.
생각 자체가 허깨비 같거늘
하물며 허망하다고 따지겠는가.
만약 이런 마음 바로 안다면
그런 뒤에 원만한 깨달음을 구할 수 있으리.
 

출처 : 동국대학교 한글대장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