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세상은 마음

이때 미륵보살이 대중 가운데 있다가 얼른 자리에서 일어나 부처님의 발에 이마를 대어 예를 올리고 오른쪽으로 세 바퀴 돌고 단정히 무릎을 세워 꿇고 합장하고 부처님께 아뢰었다.

“대비하신 세존이시여, 널리 보살들을 위하여 비밀장(秘密藏)을 열어 여러 대중들로 하여금 윤회의 이치를 깊이 깨달아 정(正)과 사(邪)를 분별하게 하셨고, 말법 세계의 일체 중생들에게 두려움이 없는 도의 눈[道眼]을 보여 주시어 큰 열반에 대해 결정적인 신심(信心)을 내어 다시는 거듭 바퀴 돌 듯 하는 경계를 따라 헤매는 소견을 내지 않게 하셨나이다.
세존이시여, 만일 모든 보살과 말법 세계의 중생들이 여래의 큰 적멸의 바다에 노닐고자 하면, 어떻게 해야 윤회의 근본을 끊고, 윤회에는 몇 가지 성품이 있으며, 부처님의 보리를 닦는 데에는 몇 가지 차별이 있으며, 또 번뇌[塵勞]의 세계에 들어가자면 몇 가지의 교화 방편을 베풀어서 중생들을 제도해야 하겠나이까? 바라옵건대, 세상을 구하시려는 큰 자비심을 버리지 마시고, 수행하는 모든 보살들과 말법 세계의 중생들로 하여금 지혜의 눈[慧眼]이 청정해지고 마음의 거울이 밝아져서 여래의 위없는 지견(知見)을 뚜렷이 깨치도록 해주시옵소서.”
이렇게 말하고 오체투지하며, 이와 같이 세 번 청하여 거듭거듭 되풀이하였다.


그때 세존께서 미륵보살에게 말씀하셨다.
“좋은 말이다. 좋은 말이다, 선남자야. 그대가 지금 보살들과 말법 세계 중생들을 위하여 여래의 심오하고 비밀하고 미묘한 이치를 물어 모든 보살들로 하여금 지혜의 눈이 맑고 깨끗해지게 하고, 말법 세계의 일체 중생들로 하여금 영원히 윤회를 끊고 마음은 실상(實相)을 깨달아 무생법인(無生法忍)을 갖추게 하려 하는구나. 그대들은 지금 자세히 들으라. 이제 그대들을 위하여 말해 주리라.”
그때 미륵보살은 분부를 받들고는 기뻐하면서 대중들과 함께 조용히 귀를 기울이고 기다렸다.
“선남자야, 일체 중생들이 끝없는 옛날부터 가지가지의 은애(恩愛)와 탐욕(貪欲)이 있으므로 말미암아 윤회(輪廻)하게 되었느니라. 만일 모든 세계의 일체 종류인 알로 나거나[卵生] 태로 나거나[胎生] 습기로 나거나[濕生] 화하여 나는 것[化生] 모두가 음욕으로 인하여 제 목숨을 유지하나니, 윤회는 애욕이 근본이 되는 것인 줄 알아야 하느니라. 온갖 탐욕이 있기 때문에 애욕의 성품이 생기도록 돕는 것이니, 그 때문에 생사가 계속되어 끊이지 않느니라. 애욕은 사랑으로 인하여 생기고, 목숨은 음욕으로 인하여 있게 되는데, 중생들이 목숨을 사랑함에는 다시 애욕의 근본에 의지하나니, 애욕은 원인[因]이 되고, 목숨을 사랑함은 결과[果]가 되느니라.
애욕의 경계를 말미암아 따르거나 거슬리는 마음을 일으키게 되나니, 그 경계가 사랑하는 마음을 거스르면, 그만 미워하고 질투하는 마음을 일으켜 갖가지 업(業)을 짓고, 그런 까닭에 다시 지옥(地獄)이나 아귀(餓鬼)에 태어나는 것이니라. 애욕은 싫어해야 할 것임을 알고, 업을 싫어하는 도(道)를 좋아하여 악을 버리고 선을 좋아하면, 다시 하늘이나 인간으로 태어나며, 또 온갖 애욕은 싫어해야 할 것임을 안 까닭에 애욕을 버리고 평등한 사(捨)를 좋아하나, 도리어 애욕의 근본을 불어나게 하여 다시 유위(有爲)의 가장 높고 선한 과보를 드러내나, 이는 모두가 윤회인 까닭에 거룩한 도를 이루지 못하느니라. 그러므로 중생들이 생사를 벗어나서 윤회를 면하고자 하려면, 먼저 애욕을 끊고 갈애(渴愛)를 없애야 하느니라.


선남자야, 보살이 변화하여 세간에 나타나는 것은 애욕의 근본 때문이 아니니, 다만 자비한 마음으로 중생들로 하여금 애욕을 버리게 하기 위하여 거짓으로 온갖 탐욕을 부리면서 생사 속에 들어간 것이니라. 만일 말법 세계의 일체 중생들이 탐욕과 미워하고 사랑함을 다 버리고 윤회를 영원히 끊은 이가 여래 원각의 경계를 애써 구한다면, 청정한 마음이 곧 깨달음을 얻으리라.
선남자야, 일체 중생들이 본래의 탐욕 때문에 무명(無明)을 일으켜서 다섯 가지 성질이 차별하여 같지 않은 현상이 드러나고, 두 가지 장애에 의지하여 깊고 얕은 현상이 드러난다. 어떤 것이 그 두 가지 장애인가? 하나는 이치의 장애[理障]이니 바른 지견을 장애하는 것이요, 둘째는 사물의 장애[事障]이니 모든 생사를 계속하게 하는 것이니라.
어떤 것이 다섯 가지 성품인가? 선남자야, 만일 이 두 가지 장애를 끊어 없애지 못하면, 부처를 이루었다고 하지 못하니, 만일 중생들이 영원히 탐욕을 버리어서 먼저 사물의 장애는 제거하였지만, 아직 이치의 장애를 끊지 못하였으면, 다만 성문이나 연각의 경지는 깨달아 들어갈지언정 보살의 경계에는 나타나 머무르지 못하느니라.


선남자야, 만일 말법 세계의 일체 중생들이 여래의 큰 원각(圓覺) 바다에 노닐고자 하면, 먼저 원을 세워서 부지런히 두 가지 장애를 끊어야 하나니, 두 가지 장애를 이미 굴복시켰으면, 곧 보살의 경계에 깨달아 들어갈 수 있을 것이며, 만일 사물의 장애와 이치의 장애를 이미 영원히 끊어버렸으면, 곧 여래의 미묘한 원각에 들어가서 보리(菩提)와 큰 열반을 만족하게 할 것이니라.
선남자야, 일체 중생들이 모두가 원각(圓覺)을 증득할 수 있나니, 선지식을 만나서 그가 했던 인지(因地)의 법다운 수행을 의지하면, 그때 닦아 익히는 데 돈(頓:단번에 깨달음)과 점(漸:점차로 닦음)이 있게 될 것이나 만일 여래의 위없는 보리(菩提)의 바른 수행의 길을 만나면 근기의 대소(大小)를 막론하고 모두가 불과(佛果)를 성취하리라. 만일 중생들이 아무리 훌륭한 벗을 구하였다 하더라도 삿된 소견을 가진 이를 만나면 바른 깨달음을 얻지 못하리니, 이것은 곧 외도의 종성(種性)이라 하나니, 삿된 소견을 지닌 스승의 허물일지언정 중생의 허물은 아니니라. 이것을 중생의 다섯 가지 성품의 차별이라 하느니라.


선남자야, 보살은 오직 대비(大悲)의 방편으로써 세간에 들어가서 깨닫지 못한 이를 깨우쳐 주며, 내지는 가지가지의 형상을 나타내 보여 역경(逆境)과 순경(順境)에서 그와 더불어 같은 일을 하여 교화하며 부처를 이루도록 교화하나니, 모두가 시작도 없는 청청한 원력에 의지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니라. 만일 말법 세계의 모든 중생들이 큰 원각에 대하여 증상(增上)의 마음을 일으키거든 먼저 보살이 깨끗한 큰 서원을 세워야 하나니, 응당 발원하기를 ‘제가 지금 부처님의 원각에 머물러서 선지식을 구하옵는데 외도(外道)나 2승(乘:성문․연각)은 만나지 않게 해주소서’라고 하고, 서원에 의하여 수행하여 모든 장애를 차츰 끊고, 장애가 다하여 서원이 원만해지면, 곧 해탈의 청정한 법전(法殿)에 올라 큰 원각인 미묘한 장엄의 경지를 증득하리라.”
그때 세존께서 이 이치를 거듭 펴시기 위하여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미륵이여, 그대는 마땅히 알라.


 일체 중생들이
큰 해탈을 얻지 못하는 이유는
모두가 탐심과 애욕의 탓이니
이로 인해 생사에 끊임없이 떨어지느니라.


만일 미움과 사랑을 끊을 수 있고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 끊어버리면
차별된 성품에 구애되지 않고
모두 다 부처님의 도[佛道]를 이루리라.


두 가지 장애를 영원히 끊고
스승을 구하여 바른 깨달음 얻어
보살의 서원을 따르면
거룩한 열반에 의지하리라.


시방의 모든 보살들
모두가 대자비의 원력으로 인해
생사에 드는 모습 보이셨나니
현재에 수행하는 이들과
말법 세계의 중생들이
온갖 애견(愛見) 열심히 끊으면
큰 원각에 돌아가리라.
 

출처 : 동국대학교 한글대장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