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때 변음(辯音)보살이 대중 가운데 있다가 얼른 자리에서 일어나 부처님 발에 이마를 대어 예를 올리고 오른쪽으로 세 바퀴 돌고 나서 단정히 무릎을 꿇고 합장하고 부처님께 아뢰었다.
“대비하신 세존이시여, 이러한 법문은 매우 희유(希有)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이 모든 방편은 일체 보살이 원각의 문에 대하여 몇 가지로 닦아 익혀야만 합니까? 바라옵건대 대중들과 말법 세계의 중생들을 위하여 방편을 열어 보이시어 실상(實相)을 깨닫게 하옵소서.”
이렇게 말하고 오체투지하며, 이와 같이 세 번 청하여 거듭거듭 되풀이하였다.
그때 세존께서 변음보살에게 말씀하셨다.
“훌륭하고 훌륭하도다, 선남자야. 그대들은 지금 보살들과 말법 세계 중생들을 위하여 이와 같이 여래에게 닦아 익히는 법을 묻는구나. 그대들은 지금 자세히 들으라. 이제 그대들을 위하여 말해 주리라.”
그때 변음보살이 분부를 받들고는 기뻐하면서 대중들과 함께 조용히 귀를 기울이고 기다렸다.
“선남자야, 일체 여래의 원각은 청정하여 본래 닦아 익힐 대상도 없고 닦아 익힐 주체도 없건만, 일체 보살들과 말법 세계 중생들이 깨치지 못한 까닭에 환(幻)의 힘에 의지하여 닦아 익히므로, 스물다섯 가지의 청정한 선정의 바퀴[清淨定輪]가 있게 되느니라.
만일 모든 보살들이 오직 지극한 적정[極靜]만을 취하여 적정의 힘[靜力]으로 말미암아 영원히 번뇌를 끊고, 마침내 성취하여 그 성취한 경지에서 동요하지 않고 그대로 열반에 들면, 이런 보살은 사마타 하나만을 닦는다 하느니라.
만일 모든 보살들이 오직 환과 같음만 관하고 (외도가 아닌) 부처님의 힘만을 의지하기 때문에 세계의 갖가지 작용을 변화시켜 보살의 청정하고 미묘한 행을 갖추어 닦고는 다라니(陀羅尼)에서 고요한 생각과 고요한 지혜를 잃지 않으면, 이런 보살은 삼마발제(三摩鉢提) 하나만을 닦는다 하느니라.
만일 모든 보살들이 모든 환(幻)을 멸하여 작용을 취하지 않고, 오직 번뇌만을 끊어 번뇌가 다 끊어지면 그대로 실상을 증득하나니, 이런 보살은 선나(禪那) 하나만을 닦는다 하느니라.
만일 모든 보살들이 먼저 지극히 고요함[至靜]을 취하고, 고요한 지혜[靜慧]의 마음으로 온갖 환(幻)을 비추어서 살피다가 문득 그 가운데에서 보살행을 일으키면, 이런 보살은 먼저 사마타를 닦고 나중에 삼마발제를 닦는 이라 하느니라.
만일 모든 보살들이 고요한 지혜를 써서 지극히 고요한 성품[靜性]을 증득하고는 번뇌를 끊고 영원히 생사를 벗어나면, 이런 보살은 먼저 사마타를 닦고 나중에 선나를 닦는 이라고 하느니라.
만일 모든 보살들이 적정한 지혜로써 다시 환의 힘[幻力]을 나타내고 갖가지로 변화하여 중생들을 제도하다가 나중에 번뇌를 끊고 적멸에 들면, 이런 보살은 먼저 사마타를 닦고 중간에 삼마발제를 닦고 마지막에 선나를 닦는 이라고 하느니라.
만일 모든 보살들이 지극히 고요한 힘[至靜力]으로써 번뇌를 끊고 뒤에 보살의 청정하고 미묘한 행을 일으키어 중생들을 제도하면, 이런 보살은 먼저 사마타를 닦고 중간에 선나를 닦고 마지막에 삼마발제를 닦는 이라고 하느니라.
만일 모든 보살들이 지극히 고요한 힘으로써 마음에 번뇌를 끊고 뒤에 중생을 제도하여 세계를 건립하면, 이런 보살은 먼저 사마타를 닦고 가지런히 삼마발제와 선나를 닦는 이라고 하느니라.
만일 모든 보살들이 지극히 고요한 힘으로써 온갖 변화가 일어나도록 돕고 뒤에 번뇌를 끊으면, 이런 보살은 사마타와 삼마발제를 가지런히 닦고 마지막에 선나를 닦는 이라고 하느니라.
만일 모든 보살들이 지극히 고요한 힘으로써 적멸을 돕고 나중에 작용을 일으키어 경계를 변화하면, 이런 보살은 가지런히 사마타와 선나를 닦고 마지막에 삼마발제를 닦는 이라고 하느니라.
만일 모든 보살들이 변화의 힘[變化力]으로써 가지가지로 수순하되 지극히 고요함을 취하면, 이런 보살은 먼저 삼마발제를 닦고 나중에 사마타를 닦는 이라고 하느니라.
만일 모든 보살들이 변화의 힘으로써 갖가지의 경계에서 적멸을 취하면, 이런 보살은 먼저 삼마발제를 닦고 나중에 선나를 닦는 이라고 하느니라.
만일 모든 보살들이 변화의 힘으로써 부처님의 일을 하고 적정에 편안히 머물러서 번뇌를 끊으면, 이런 보살은 먼저 삼마발제를 닦고 중간에 사마타를 닦고 나중에 선나를 닦는 이라고 하느니라.
만일 모든 보살들이 변화의 힘으로써 걸림 없는 작용으로 번뇌를 끊은 까닭에 지극히 고요함에 편안히 머무르면, 이런 보살은 먼저 삼마발제를 닦고 중간에 선나를 닦고 마지막에 사마타를 닦는 이라고 하느니라.
만일 모든 보살들이 변화의 힘으로써 방편을 써서 지극히 고요함과 적멸의 두 가지를 함께 수순하면, 이런 보살은 먼저 삼마발제를 닦고 가지런히 사마타와 선나를 닦는 이라고 하느니라.
만일 모든 보살들이 변화의 힘으로써 갖가지로 작용을 일으키어 지극히 고요함을 돕다가 나중에 번뇌를 끊으면, 이런 보살은 가지런히 삼마발제와 사마타를 닦고 나중에 선나를 닦는 이라고 하느니라.
만일 모든 보살들이 변화의 힘으로써 적멸을 돕다가 나중에 청정하게 지음 없는 선정[靜慮]에 머무르면, 이런 보살은 가지런히 삼마발제와 선나를 닦고 나중에 사마타를 닦는 이라고 하느니라.
만일 모든 보살들이 적멸의 힘[寂滅力]으로써 지극히 고요함을 일으키어 청정한 경지에 머무르면, 이런 보살은 먼저 선나를 닦고 뒤에 사마타를 닦는 이라고 하느니라.
만일 모든 보살들이 적멸의 힘으로써 작용을 일으키어 일체 경계에서 고요함[寂]과 작용[用]을 수순하면, 이런 보살은 먼저 선나를 닦고 뒤에 삼마발제를 닦는 이라고 하느니라.
만일 모든 보살들이 적멸의 힘인 갖가지 제 성품으로써 선정에 안주(安住)하고 변화를 일으키면, 이런 보살은 먼저 선나를 닦고 중간에 사마타를 닦고 마지막에 삼마발제를 닦는 이라고 하느니라.
만일 모든 보살들이 적멸의 힘인 지음 없는 제 성품으로써 작용을 일으키고 청정한 경계에서 선정에 들어가면, 이런 보살은 먼저 선나를 닦고 중간에 삼마발제를 닦고 뒤에 사마타를 닦는 이라고 하느니라.
만일 모든 보살들이 적멸의 힘인 갖가지가 청정함으로써 선정에 머물러서 변화를 일으키면, 이런 보살은 먼저 선나를 닦고 가지런히 사마타와 삼마발제를 닦는 이라고 하느니라.
만일 모든 보살들이 적멸의 힘으로써 지극히 고요함을 도와 변화를 일으키면, 이런 보살은 가지런히 선나와 사마타를 닦고 뒤에 삼마발제를 닦는 이라고 하느니라.
만일 모든 보살들이 적멸의 힘으로써 변화를 돕고, 지극히 고요하고 깨끗하고 밝은 경지의 지혜를 일으키면, 이런 보살은 가지런히 선나와 삼마발제를 닦고 뒤에 사마타를 닦는 이라고 하느니라.
만일 모든 보살들이 원각의 지혜로써 일체에 원만하게 합하고, 모든 성품[性]과 형상[相]에서 깨달음의 성품을 여읨이 없으면, 이런 보살은 세 가지를 원융하게 닦아서 제 성품의 청정함을 수순한다고 하느니라.
선남자야, 이것을 이름하여 보살의 스물다섯 가지 관문[輪]이라 하나니, 일체 보살의 수행이 이와 같으니라.
만일 모든 보살들과 말법 세계의 중생들이 이 관문을 의지하려는 이는 맑은 행을 지니고 적정하게 생각을 하며, 간절하게 참회 구하기를 삼칠일(三七日:21日)을 지내야 할 것이다. 그런 다음에 스물다섯 가지 관문을 각각 표기해 두고 지극한 마음으로 가엾이 여겨 주실 것을 구한 다음 손에 집히는 대로 표지를 집어 그 표지에 보여주는 것에 따라 돈(頓)과 점(漸)을 알게 되리니, 한 생각이라도 의심하거나 후회하면 곧 성취하지 못하리라.”
그때 세존께서 이 이치를 거듭 펴시기 위하여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변음(辯音)이여, 그대는 마땅히 알라.
일체 모든 보살들의
걸림 없는 청정한 지혜는
모두가 선정에서 생기나니
이른바 사마타이며
삼마발제와 선나라.
세 가지 법을 돈(頓)ㆍ점(漸)으로 닦는 데에는
스물다섯 가지가 있나니
시방세계 모든 여래들과
3세(世)에 수행하는 이들이
이 법을 따르지 않고서는
보리를 성취하지 못하리라.
그러나 단번에 깨달은 사람과
법에 수순치 않는 이는 제외되나니
일체 보살들과
말법 세계의 온갖 중생들은,
항상 이 관문을 지니어
수순하고 부지런히 닦아 익혀야
부처님의 자비스런 힘에 의하여
오래지 않아 열반을 증득하리라.
출처 : 동국대학교 한글대장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