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세상은 마음

이때 보각(普覺)보살이 대중 가운데 있다가 얼른 자리에서 일어나 부처님 발에 이마를 대어 예를 올리고 오른쪽으로 세 바퀴 돌고 단정히 무릎을 꿇고 합장하고 부처님께 아뢰었다.
“대비하신 세존이시여, 쾌히 선(禪)의 폐단을 말씀해 주시어 여러 대중들로 하여금 일찍이 맞보지 못했던 기쁨을 얻게 하시고, 마음이 확 트여 큰 안온(安隱)을 얻게 하셨나이다.
세존이시여, 말법 세계 중생들은 부처님과 거리가 점차로 멀어지매, 성현은 숨고 삿된 법은 더욱 왕성해질 것이오니, 모든 중생들로 하여금 어떤 사람을 따르고 어떤 법에 의지하며, 어떤 행(行)을 행하고 어떤 병(病)을 제거하며, 어떻게 발심(發心)하게 하여야, 저 눈먼 자들로 하여금 삿된 소견에 떨어지지 않게 하겠나이까?”
이렇게 말하고 오체투지하며, 이와 같이 세 번 청하여 거듭거듭 되풀이하였다.


그때 세존께서 보각보살에게 말씀하셨다.
“훌륭하고 훌륭하도다, 선남자야. 그대들이 이제 여래에게 이와 같은 수행을 물어서 말법 세계의 모든 중생들에게 두려움 없는 도안(道眼)을 베풀어 주고, 그 중생들로 하여금 거룩한 도를 이룰 수 있게 하려고 하는구나. 그대들은 지금 자세히 들으라. 이제 그대들을 위하여 말해 주리라.”
그때 보각보살이 분부를 받들고는 기뻐하면서 대중들과 함께 조용히 귀를 기울이고 기다렸다.
“선남자야, 말법 세계 중생들로서 장차 큰마음을 일으켜 선지식을 구하여 수행하려고 하는 이는 일체 바른 지견(知見)을 가진 사람을 구해야 할 것이니, 마음이 상(相)에 머물지 않으며, 성문이나 연각의 경계에 집착하지 않으며, 비록 진로(塵勞)의 모습을 나타내긴 하지만 마음은 항상 청정하며, 온갖 허물이 있는 듯이 보이나 맑은 행을 찬탄하며, 중생들로 하여금 그른 계율에 들지 않게 하는 자여야 하느니라.


이와 같은 사람을 따르면 곧 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를 성취할 수 있으리라. 말법 세계의 중생들이 이와 같은 사람을 보면 응당 공양하되, 몸과 목숨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니, 그 선지식은 4위의(威儀) 가운데 언제나 청정한 행을 나타내거나, 내지는 갖가지 허물을 드러내더라도 교만한 마음이 없어야 할 것이거늘, 하물며 재물을 모았거나 처자와 권속을 지님이겠는가? 만일 선남자야, 그 훌륭한 벗[善友]에 대하여 나쁜 생각을 일으키지 않으면 곧 마침내 정각(正覺)을 성취하여 마음 꽃[心花]이 밝게 피어 시방세계를 비출 것이니라.
선남자야, 그 선지식이 증득한 미묘한 법은 네 가지 병(病)을 여의어야 할 것이니, 어떤 것이 그 네 가지 병인가?


첫째는 조작하는 병[作病]이니, 만일 어떤 사람이 생각하기를 ‘나는 본심(本心)에 갖가지 행을 지어서 원각(圓覺)을 구하리라’ 하면, 그 원각의 성품은 지어서 얻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병이라고 이름하느니라.
둘째는 맡기는 병[任病]이니, 만일 어떤 사람이 생각하기를 ‘우리들은 지금 생사를 끊지도 않고 열반을 구하지도 않는다. 열반과 생사는 일어나거나 멸한다는 생각이 없나니, 저 온갖 것에 맡기고, 모든 법의 성품을 따름으로써 원각을 구하고자 한다’고 하면, 그 원각의 성품을 맡겨 둠으로써 있는 것이 아니므로 병이라고 이름하느니라.
셋째는 그치는 병[止病]이니, 만일 어떤 사람이 생각하기를, ‘나는 이제 내 마음의 모든 망념(妄念)을 영원히 쉬어서 일체 법성(法性)이 적연(寂然)하고 평등해지게 됨으로써 원각을 구하고자 한다’고 하면, 그 원각의 성품은 그침으로써 부합되는 것이 아니므로 병이라고 하느니라.
넷째는 멸하는 병[滅病]이니, 만일 어떤 사람이 생각하기를, ‘나는 이제 일체의 번뇌를 영원히 끊어 몸과 마음이 마침내 공(空)하여 아무 것도 없거늘 하물며 근(根)과 진(塵)의 허망한 경계이겠는가. 모두 영원히 고요해지는 것으로써 원각을 구하고자 한다’고 하면, 그 원각의 성품은 고요한 모습이 아니므로 병이라고 하느니라.


이 네 가지 병을 떠난 이라야 곧 청정함을 알 것이니, 이런 관을 짓는 것을 일러 바른 관[正觀]이라 하고, 만일 이것 이외에 다른 관을 짓는다면 삿된 관[邪觀]이라 하느니라.
선남자야, 말법 세계의 중생들이 수행을 하고자 하거든 목숨을 다하여 훌륭한 벗에게 공양하고 선지식(善知識)을 잘 섬겨야 할 것이니라. 그 선지식이 와서 친근히 하려고 하거든 교만한 마음을 끊고, 만일 멀리 하더라도 성을 내거나 원한을 품지 않아야 하느니라. 자신의 경계에 순행하거나 역행함이 나타나더라도 마치 허공과 같이 여기고 몸과 마음이 마침내 평등하여 중생들과 동체(同體)여서 조금도 차이가 없는 줄로 분명히 알아야 되나니, 이와 같이 수행하
여야 비로소 원각에 들어가리라.


선남자야, 말법 세계의 중생들이 도를 이루지 못하는 까닭은 비롯함이 없는 옛날부터 자기와 남을 미워하거나 사랑하던 일체의 종자 때문이니, 그런 까닭에 해탈하지 못하는 것이니라. 그러나 만일 어떤 사람이 원수를 대하되 자신의 부모와 같이 하여 두 가지 마음이 없으면 곧 모든 병이 없어지리니, 모든 법 가운데에서 자신과 남을 미워하거나 사랑함도 그와 같으니라.
선남자야, 말법 세계의 중생들이 원각을 구하고자 하면 먼저 발심하고서 맹서하여 말하기를 ‘허공이 다하기까지 일체의 중생들을 내가 모두 구경(究竟)의 원각(圓覺)에 들게 하되 원각에서는 깨달음을 취할 이도 없고 저 나니 너니 하는 따위의 모든 상(相)을 없애리라’고 말해야 한다. 이와 같이 발심하면 사견(邪見)에 빠지지 않으리라.”
그때 세존께서 이 이치를 거듭 펴시기 위하여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보각(普覺)이여, 그대는 마땅히 알라.
말법 세계의 중생들이
선지식을 구하려 하면
바른 깨달음을 가진 이로서
이승의 생각을 여읜 이를 구하라.


짓고․그치고․맡기고․멸하는
이 같은 네 가지 병이 없어야 하리니
내게 가까이 하여도 교만치 말고
나를 멀리하여도 성내지 말고
갖가지 경계를 나타내 보일지라도
마땅히 희유(希有)한 마음을 내어
부처님을 만난 듯이 공경하라.


그릇된 계율을 범하지 않으면
계율의 근본이 영원히 맑아지리니
일체의 중생들을 제도하여
 마침내 원각에 들게 하되,


나다 너다 하는 상(相)이 없이
언제나 바른 지혜를 의지하면
곧 삿된 소견을 초월하여
원각을 증득하고 열반에 들리라.
 

출처 : 동국대학교 한글대장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