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세상은 마음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요진(姚秦) 천축(天竺)삼장 구마라집(鳩摩羅什) 한역


1. 법회인유분(法會因由分)


법회인유분(法會因由分)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舍衛國)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에서 큰 비구(比丘)들 1,250사람과 함께 계셨다.
그 때 세존(世尊)께서 식사 때[食時]가 되자 가사(袈裟)를 입으시고 발우를 지니시고 사위성으로 들어가셨다. 그 성 안에서 탁발하시면서 차례로 빌어 빌기를 마치고는 계시던 곳으로 돌아와 진지를 잡수시고 나서 가사와 발우를 거두시고 발을 씻으시고는 자리를 펴고 앉으셨다.

 

1) 이하 소제명들은 고려대장경 원문에는 없는 것인데, 역자가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보입한 것이다.

 

2. 선현기청분(善現起請分)

 

이 때 장로(長老) 수보리(須菩提)가 대중 속에 있다가 일어나서 오른쪽 어깨를 벗어 메고 오른 무릎을 땅에 꿇고 합장하고 공경히 부처님께 아뢰었다.
“희유(希有)하십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보살들을 잘 염려 보호해[護念] 주시고 보살들을 잘 당부하여 위촉해[善付囑] 주십니다. 세존이시여, 선남자(善男子)와 선여인(善女人)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의 마음을 내고는 어떻게 머물러야 되며, 어떻게 그 마음을 항복시켜야 됩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좋은 말이다. 참으로 좋은 일이다. 수보리야, 네 말과 같이 여래는 보살들을 잘 염려하여 보호하고 보살들을 잘 당부하여 위촉해 주나니, 정신 차려 들어라. 말해 주리라. 선남자와 선여인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내고는 이렇게 머물러 있어야 하며, 이렇게 그 마음을 항복시켜야 하느니라.”
“네, 세존이시여, 즐겁게 듣기를 원합니다.”

 

3. 대승정종분(大乘正宗分)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보살마하살은 마땅히 이렇게 그 마음을 항복시켜야 되나니, 이른바 세상에 있는 온갖 중생인 난생(卵生)ㆍ태생(胎生)ㆍ습생(濕生)ㆍ화생(化生)과 유색(有色)ㆍ무색(無色)ㆍ유상(有想)ㆍ무상(無想)ㆍ비유상(非有想)ㆍ비무상(非無想)을 내가 모두 제도하여 무여열반(無餘涅槃)2)에 들도록 하리라 하라. 이렇게 한량없고 끝없는 중생을 제도하되 실제로는 한 중생도 제도를 받은 이가 없느니라. 무슨 까닭이겠느냐? 수보리야, 만일 어떤 보살이 아상(我相)3)ㆍ인상(人相)4)ㆍ중생상(衆生相)5)ㆍ수자상(壽者相)6)이 있으면 보살이 아니기 때문이니라.”

 

2) 육체 등 생존의 계약에서 완전히 이탈된 상태, 완전한 절대 무(無)의 경지로서 고뇌 없이 영원한 평안만이 있는 열반.

3) 5온(蘊)으로 된 이 몸을 참 나라고 집착하는 것.
4) 나는 사람이요, 축생이 아니라는 집착이며, 또는 나에 대하여 남이라는 집착이다.
5) 나는 5온을 의지하며 살아간다는 집착.
6) 일정한 기간 동안 살아가는 목숨이 있다고 하는 집착.

 

4. 묘행무주분(妙行無住分)

“또 수보리야, 보살은 법에 대하여 마땅히 머물러 있는 생각 없이 보시(布施)를 해야 하나니, 이른바 색(色)에 머물지 않고 보시하며, 성(聲)ㆍ향(香)ㆍ미(味)ㆍ촉(囑)ㆍ법(法)에도 머무르지 않고 보시해야 하느니라. 수보리야, 보살은 이렇게 보시를 행하여 상(相)7)에 머물지 않아야 하느니라. 무슨 까닭이겠는가? 만일 보살이 상에 머물지 않고 보시하면 그 복덕(福德)을 헤아릴 수 없느니라.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동쪽에 있는 허공을 생각하여 헤아릴 수 있겠느냐?”

“못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야, 남쪽ㆍ서쪽ㆍ북쪽과 네 간방[四維]과 위아래에 있는 허공을 생각하여 헤아릴 수 있겠느냐?”
“못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야, 보살이 상에 머물지 않고 보시하는 공덕도 그와 같아서 생각하여 헤아릴 수 없느니라.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은 이렇게 가르쳐 준 대로만 머물지니라.”

 

7) 마음으로 생각하여 볼 수 있는 온갖 물건과 일의 모양을 말한다.

 

출처 : 동국대학교 한글대장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