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세상은 마음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11. 무위복승분(無爲福勝分)

 

“수보리야, 항하(恒河)에 있는 모래처럼 많은 항하가 있다면, 어떻게 생각하느냐? 이렇게 많은 항하의 모래 수효가 많지 않겠느냐?”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대단히 많겠습니다, 세존이시여. 그 항하들만 하여도 엄청나게 많거늘 하물며 그 여러 항하의 모래이겠습니까?”
“수보리야, 내가 지금 참말로써 말하노니, 어떤 선남자와 선여인이 그렇게 많은 항하의 모래같이 많은 삼천대천세계에 7보를 가득히 채워서 보시에 쓴다면 그 복덕이 많지 않겠느냐?”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매우 많겠습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만일 어떤 선남자와 선여인이 이 경의 사구게(四句偈)만이라도 받아 지니고 다른 사람에게 설명해 주면 그 복덕은 앞에서 7보로 보시한 복덕보다 더 수승(殊勝)하니라.”

 

12. 존중정교분(尊重正敎分)

 

“또 수보리야, 어디서나 이 경을 말하되 사구게만 설명하더라도 온 세계의 하늘 무리나 세상 사람이나 아수라(阿修羅)들이 모두가 공경하기를 부처님의 탑과 같이 할 것이거늘, 하물며 어떤 사람이 끝까지 다 지니어 읽거나 외울 때이겠는가? 수보리야, 이 사람은 가장 높고 제일이고 희유(希有)한 법을 성취하게 되리니, 이 경이 있는 곳은 곧 부처님이나 혹은 거룩한 제자들이 있는 곳이 되느니라.”

 

13. 여법수지분(如法受持分)

 

그 때에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이 경의 이름은 무엇이라 하며, 우리들이 어떻게 받들어 지니옵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이 경은 이름이 금강반야바라밀이니, 이 이름으로써 너희들은 받들어 지녀라. 그 까닭이 무엇이겠느냐? 수보리야, 부처가 반야바라밀이라 말한 것은 곧 반야바라밀이 아니기 때문이니라.”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여래가 법을 말한 것이 있느냐?”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법을 말씀하신 바가 없습니다.”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삼천대천세계에 있는 티끌이 많지 않겠느냐?”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엄청나게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야, 여래가 말한 티끌은 티끌이 아니므로 티끌이라 하며, 여래가
말한 세계는 세계가 아니므로 세계라 이름하느니라.”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32상(相)으로써 여래를 볼 수 있겠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32상으로는 여래를 보지 못하리니, 왜냐하면 여래께서 말씀하신 32상은 곧 상(相)이 아니므로 32상이라 이름하기 때문입니다.”
“수보리야, 어떤 선남자와 선여인이 항하의 모래같이 많은 목숨을 보시하였고, 또 다른 어떤 사람은 이 경에서 한 사구게만이라도 받아 지니고 다른 사람에게 말하여 주었다면, 그 복은 저 복보다 더 많으니라.”

 

14. 이상적멸분(離相寂滅分)

 

그 때에 수보리가 이 경을 말씀하시는 것을 듣자, 뜻을 잘 알고는 눈물을 흘리면서 부처님께 아뢰었다.
“희유하옵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이렇게 뜻 깊은 경전을 말씀하시는 것은 제가 지혜의 눈[慧眼]을 뜬 이후로 일찍이 듣지 못하던 바입니다.
세존이시여, 만일 어떤 사람이 이 경을 듣고 믿음이 깨끗해지면 실상(實相)19)을 깨달으리니, 이 사람은 제일 희유한 공덕을 성취한 사람이옵니다. 세존이시여, 이 실상은 상(相)이 아니므로 여래께서 실상이라 말씀하십니다.
세존이시여, 제가 지금 이 경을 듣고 그대로 믿어 받아 지니기는 어렵지 않으나, 만일 다음 세상의 마지막 5백 세[後五百歲]에 어떤 중생이 이 경을 듣고 그대로 믿어 받아 지닌다면, 이 사람이야말로 제일 희유하리니, 무슨 까닭인가 하면, 이 사람은 아상ㆍ인상ㆍ중생상ㆍ수자상이 전혀 없기 때문입니다. 곧 아상이 곧 상(相)이 아니요, 인상ㆍ중생상ㆍ수자상도 곧 상이 아니기 때문이며, 온갖 상을 여읜 이를 부처라 하기 때문입니다.”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그러하니라, 그러하니라. 만일 어떤 사람이 이 경을 듣고 놀라지 않고 겁내지 않으며 두려워하지 않으면, 이 사람은 참으로 희유한 사람인 줄을 알지니라.

왜냐하면 수보리야, 여래가 말하는 제일 바라밀은 제일 바라밀이 아니므로 제일 바라밀이라 이름하기 때문이니라.
수보리야, 인욕바라밀(忍辱波羅蜜)을 여래는 인욕바라밀이 아니라 하노니,

무슨 까닭이겠는가? 수보리야, 내가 옛날에 가리왕(歌利王)에게 몸을 갈기갈기 찢길 적에 아상도 없고 인상도 없고 중생상도 없고 수자상도 없었기 때문이니라. 만약 내가 옛날에 몸을 찢길 적에 아상ㆍ인상ㆍ중생상ㆍ수자상이 있었더라면 성을 내어 원망하였을 것이니라.

또 저 옛날 5백 생 전에 인욕 선인(忍辱仙人)이었던 일을 기억하건대, 그 때에도 아상ㆍ인상ㆍ중생상ㆍ수자상이 없었느니라.
그러므로 수보리야, 보살은 마땅히 온갖 모양을 여의고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낼지니, 빛깔에 머물러서 마음을 내지도 말며, 소리와 냄새와 맛과 감촉과 법(法)에 머물러서 마음을 내지도 말아야 하나니, 마땅히 머무름 없는 마음을 낼지니라. 만일 마음이 머무는 데가 있으면 이것은 머무름이 아니니, 그러므로 여래는 말하기를, ‘보살은 마음을 빛깔에 머무르고서 보시하지 말아야 한다’ 하였느니라.
수보리야, 보살들은 마땅히 온갖 중생들을 이롭게 하기 위하여 보시하여야 하나니, 여래는 온갖 상(相)이 곧 상이 아니라 하며, 또는 온갖 중생이 곧 중생이 아니라 하느니라.
수보리야, 여래는 참된 말만 하는 이이며, 실다운 말만 하는 이이며, 여실한 말만 하는 이이며, 속이지 않는 말만 하는 이이며, 다르지 않은 말만 하는 이이니라. 수보리야, 여래가 얻은 법은 진실도 아니요, 거짓도 아니니라.
수보리야, 어떤 보살이 마음을 법에 머물러 보시하는 것은 마치 어두운 곳에 있는 사람이 아무것도 보지 못하는 것 같고, 어떤 보살이 마음을 법에 머물지 않고 보시하면 눈 밝은 사람이 햇빛 아래서 여러 가지 물건을 보는 것 같으니라.
수보리야, 오는 세상에 선남자와 선여인들이 이 경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면, 여래가 부처의 지혜로써 이 사람을 다 알고 다 보나니, 모두가 한량없고 끝없는 공덕을 이루느니라.”

 

19) 마음이나 온갖 물건의 본체(本體)를 말하는 것이니, 진여(眞如)라고도 하고 불성(佛性)이라고 하고, 법성ㆍ법신ㆍ열반ㆍ진성ㆍ진제라고도 한다.

 

15. 지경공덕분(持經功德分)


“수보리야, 어떤 선남자나 선여인이 아침나절에 항하의 모래 수 같은 몸으로 보시하고, 점심나절에도 항하의 모래 수 같은 몸으로 보시하고, 저녁나절에도 항하의 모래 수 같은 몸으로 보시하여, 이렇게 한량없는 백천만억 겁(劫) 동안 보시하더라도 다른 사람이 이 경전을 듣고 믿는 마음으로 그르다고 하지만 않아도 그 복이 저 보시한 복보다 더 많거늘 하물며 이 경을 쓰고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고 남에게 일러 주기까지 함이겠느냐.
수보리야, 중요한 뜻만을 들어서 말하건대, 이 경에는 말할 수 없고 생각할 수 없고 측량할 수도 없는 많은 공덕이 있나니, 여래는 대승의 마음을 낸 이를 위하여 이 경을 말했으며, 가장 높은 마음을 낸 이를 위하여 이 경을 말했느니라.
만일 어떤 사람이 이 경전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고 여러 사람들에게 일러 주면 여래가 이 사람을 다 알고 보나니, 모두가 한량없고 말할 수 없고 끝없고 생각할 수 없는 공덕을 이룰 것이며, 이런 사람은 여래의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감당할 것이니라. 무슨 까닭이겠는가? 수보리야, 소승법(小乘法)을 좋아하는 이는 아상ㆍ인상ㆍ중생상ㆍ수자상의 소견에 집착되므로 이 경을 듣지도 못하고 읽고 외우지도 못하고 남에게 일러 주지도 못하기 때문이니라.
수보리야, 어디에나 이 경이 있으면 온갖 하늘 사람ㆍ세상 사람ㆍ아수라들이 공양을 올리리니, 이곳은 보기 좋은 부처님의 탑과 같으므로 모두가 공경히 예배하고 돌면서 꽃과 향으로 그곳에 흩느니라.”
 

출처 : 동국대학교 한글대장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