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세상은 마음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16. 능정업장분(能淨業障分)

 

“또 수보리야, 만일 선남자와 선여인이 이 경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면서도 남에게 천대를 받으면, 이 사람은 지난 세상에 지은 죄업으로 악도(惡道)에 떨어질 것이거늘, 금생에 남의 천대를 받는 탓으로 전생의 죄업이 모두 소멸하고 반드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으리라.
수보리야, 나는 지나간 세상 한량없는 아승기겁(阿僧祇劫) 동안 연등(然燈)부처님을 만나기 전에 8백4천만억 나유타(那由他) 부처님을 만나서 모두 공양하고 받들어 섬기며 그냥 지내보낸 적이 없음을 기억하노니, 만일 어떤 사람이 이 다음 말법(末法) 세상20)에 이 경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워서 얻는 공덕은 내가 부처님께 공양한 공덕으로는 백분의 일도 미치지 못하며, 천분의 일, 만분의 일, 억분의 일도 미치지 못하며, 산수(算數)나 비유(譬喩)로도 미칠 수 없느니라.
수보리야, 어떤 선남자와 선여인이 이 다음 말법 세상에서 이 경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는 공덕을 내가 모두 말하면, 이 말을 듣는 이는 마음이 미치고 어지러워서 믿지 아니하리라. 수보리야, 이 경의 이치는 말이나 생각으로 미칠 수 없고[不可思議], 과보(果報) 또한 말이나 생각으로 미칠 수 없느니라.”


20) 석가모니부처님께서 열반에 드신 뒤 정법(正法) 시대 천 년과 상법(像法) 시대 천 년이 지난 이후 1만 년 동안을 말한다.

 

17. 구경무아분(究竟無我分)

 

그 때에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선남자와 선여인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내고는 어떻게 머물러야 되며, 어떻게 그 마음을 항복시킵니까?”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선남자와 선여인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내었거든 마땅히 이러한 마음을 낼지니, ‘내가 온갖 중생들을 열반에 이르도록 제도하리라’ 하라. 온갖 중생들을 모두 제도한다지만 실제로는 한 중생도 제도될 이가 없나니, 무슨 까닭이겠는가? 만일 보살이 아상ㆍ인상ㆍ중생상ㆍ수자상이 있으면 참 보살이 아니기 때문이니라. 왜냐하면 수보리야, 실제에는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낼 법이 없기 때문이니라.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연등불(然燈佛)에게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법을 얻을 것이 있느냐?”
“그렇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제가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는 뜻을 알기로는 부처님께서 연등불에게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법을 얻은 것이 없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러하니라, 그러하니라. 수보리야, 진실로 여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법을 얻은 것이 없느니라. 수보리야, 만일 여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은 법이 있다면, 연등불이 나에게 수기(授記)하시기를, ‘네가 오는 세상에 부처가 되어 이름을 석가모니라 하리라’ 하시지 않았으련만, 실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은 법이 없으므로 연등불이 내게 수기하시기를 ‘네가 오는 세상에 부처가 되어 이름을 석가모니라 하리라’ 하셨느니라.
어찌하여 그러한가? 여래란 것은 모든 법이 진여라는 뜻이니라.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여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 하거니와 실제로는 부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은 법이 없느니라.
수보리야, 여래가 얻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그 가운데 참된 것도 없고 허망한 것도 없느니라. 그러므로 여래는 온갖 법이 모두 불법이라 하느니라.
수보리야, 온갖 법이란 것은 곧 온갖 법이 아니므로 온갖 법이라 하느니라. 비유하건대 어떤 사람의 몸이 동떨어지게 크다는 것과 같으니라.”
수보리가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 말씀하시기를, ‘어떤 사람의 몸이 동떨어지게 크다’ 하신 것은 큰 몸이 아니므로 큰 몸이라 하십니다.”
“수보리야, 보살들도 역시 그러하여 만일 말하기를, ‘내가 한량없는 중생들을 제도하리라’ 하면, 보살이라고 이름하지 못할지니, 무슨 까닭이냐? 수보리야, 진실로 보살이라고 이름할 것이 없기 때문이니라. 그러므로 여래가 말하기를, ‘온갖 법은 아상ㆍ인상ㆍ중생상ㆍ수자상이 없다’ 하느니라.
수보리야, 만일 보살이 말하기를, ‘내가 불국토를 장엄하리라’ 하면, 보살이라 이름하지 못할지니, 무슨 까닭이냐? 여래가 말하는 불국토의 장엄은 장엄이 아니므로 장엄이라 하느니라. 수보리야, 만일 보살이 나와 법이 없음을 통달하면, 여래는 그를 참 보살이라 이름하느니라.”

 

18. 일체동관분(一切同觀分)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여래가 육안(肉眼)을 가졌느냐?”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육안을 가지셨습니다.”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여래가 천안(天眼)21)을 가졌느냐?”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천안을 가지셨습니다.”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여래가 혜안(慧眼)22)을 가졌느냐?”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혜안을 가지셨습니다.”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여래가 법안(法眼)23)을 가졌느냐?”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법안을 가지셨습니다.”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여래가 불안(佛眼)24)을 가졌느냐?”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불안을 가지셨습니다.”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항하에 있는 모래를 부처가 모래라 말하느냐?”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 모래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한 항하에 있는 모래 수가 많은 것같이 그렇게 많은 항하가 있고, 이 여러 항하에 있는 모래 수와 같은 불세계가 있다면 이런 불세계는 많지 않겠느냐?”
“엄청나게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그렇게 많은 세계에 있는 중생들의 갖가지 마음을 여래가 다 아노니, 무슨 까닭이겠는가? 여래가 말한 모든 마음은 모두가 마음이 아니므로 마음이라 이름할 뿐이기 때문이니라. 그 까닭이 무엇이겠는가? 수보리야, 과거의 마음도 찾을 수 없고 현재의 마음도 찾을 수 없고 미래의 마음도 찾을 수 없기 때문이니라.”

 

21) 하늘 세계의 하늘 사람들의 눈으로, 세상 사람도 선정을 닦아서 얻을 수 있는 것이니, 먼 곳이나 가까운 곳이나, 밤에나 낮이나, 겉이나 속이나 다 볼 수 있는 눈이다.
22) 진공(眞空)의 모양 없는 이치를 비추어 보는 지혜를 말한다.
23) 부처님의 몸에 육안ㆍ천안ㆍ혜안ㆍ법안을 갖춘 것.
24) 부처님의 몸에 육안ㆍ천안ㆍ혜안ㆍ법안을 갖춘 것.

 

19. 법계통화분(法界通化分)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어떤 사람이 삼천대천세계에 7보를 가득히 쌓아 놓고 보시한다면 이 사람이 이 인연으로 받는 복이 많지 않겠느냐?”
“그라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이 사람이 이 이연으로 받는 복이 매우 많겠습니다.”
“수보리야, 만일 복덕이 실제로 있는 것이라면 여래가 복덕이 많다고 말하지 아니하련만 복덕이 없는 것이므로 여래가 복덕이 많다고 말하였느니라.”

 

20. 이색리상분(離色離相分)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부처를 모두 갖춘 모습[具足色身]으로서 볼 수 있겠느냐?”
“못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를 모두 갖춘 모습으로서 볼 수 없사오니, 무슨 까닭인가 하면 여래께서 말씀하신 모두 갖춘 모습이란 모두 갖춘 모습이 아니므로 모두 갖춘 모습이라 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여래를 모두 갖춘 거룩한 몸매[具足諸相]로서 볼 수 있겠느냐?”
“못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를 모두 갖춘 거룩한 몸매로서 볼 수 없사오니, 무슨 까닭인가 하면, 여래께서 말씀하신 모두 갖춘 거룩한 몸매는 모두 갖춘 거룩한 몸매가 아니므로 모두 갖춘 거룩한 몸매라 하기 때문이옵니다.”

 

출처 : 동국대학교 한글대장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