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세상은 마음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26. 법신비상분(法身非相分)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32상으로 여래를 볼 수 있겠느냐?”
수보리가 아뢰었다.
“그러하옵니다. 32상으로 여래를 볼 수 있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야, 만일 32상으로 여래를 볼 수 있다면 전륜성왕(轉輪聖王)도 여래라고 하리라.”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제가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는 뜻을 알기로는 32상으로는 여래를 보지 못하겠습니다.”
그 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겉모양에서 부처를 찾거나
목소리로써 부처를 구한다면
이 사람은 삿된 도를 행하는지라
끝끝내 여래를 보지 못하리.

 

27.무단무멸분(無斷無滅分)

 

“수보리야, 네가 생각하기를, ‘여래는 거룩한 몸매[具足相]을 갖춘 탓으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는 것이 아니다’라고 하겠느냐? 수보리야, 여래가 거룩한 몸매를 갖춘 탓으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하지 말라.
수보리야, 너는 혹시 생각하기를,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낸 이는 모든 법이 아주 없다[斷滅]고 말하리라’ 하느냐? 그런 생각을 말지니, 무슨 까닭이겠는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낸 이는 법에 대하여 아주 없는 것이라고 말하지 않기 때문이니라.”

 

28. 불수불탐문(不受不貪分)


“수보리야, 만일 어떤 보살이 항하의 모래 수같이 많은 세계에 7보를 가득히 채워 보시하더라도, 다른 사람의 온갖 법이 나 없는 줄 알아서 확실한 지혜[忍]25)를 이룬다면, 이 보살은 저 보살의 공덕보다 썩 나으니, 수보리야, 모든 보살들은 복덕을 받지 않기 때문이니라.”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어찌하여 보살들이 복덕을 받지 않습니까?”
“수보리야, 보살들은 지은 복덕을 탐내거나 고집하지 않아야 하므로 복덕을 받지 않는다 하느니라.”

 

25) 사람도 공하고 법도 공한 이치를 깨닫고 거기에 편안하게 머물러 있어 움직이지 않는 지혜를 말한다.

 

29. 위의적정분(威儀寂靜分)

 

“수보리야, 만일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여래가 오기도 하고 가기도 하고 앉기도 하고 눕기도 한다’ 하면, 이 사람은 내가 말한 뜻을 알지 못함이니, 무슨 까닭이냐? 여래라는 이는 어디로부터 오는 일도 없고 가는 데도 없으므로 여래라고 이름하기 때문이니라.”

 

30. 일합리상분(一合理相分)

 

“수보리야, 만일 어떤 선남자와 선여인이 삼천대천세계를 부수어 티끌을 만든다면 어떻게 생각하느냐? 이 티끌들이 많지 않겠느냐?”
“매우 많겠습니다, 세존이시여. 무슨 까닭인가 하면, 만일 이 티끌들이 참으로 있는 것이라면 부처님께서는 이것을 티끌들이라 말씀하시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 까닭이 무엇인가 하면,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티끌들이란 티끌들이 아니므로 티끌들이라 이름하기 때문입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 말씀하신 삼천대천세계도 세계가 아니므로 세계라 이름합니다. 그 까닭이 무엇인가 하면, 만일 세계가 참으로 있는 것이라면 그것은 곧 한 덩어리[一合相]26)가 된 것이려니와 여래께서 말씀하시는 한 덩어리는 한 덩어리가 아니므로 한 덩어리라 이름하기 때문입니다.”
“수보리야, 한 덩어리란 것은 곧 말할 수 없는 것이거늘 다만 범부들이 그것을 탐내고 집착하느니라.”

 

26) 미진들이 모여서 세계를 조성한 것을 말하는 것이며, 또 5온이 화합하여 사람이 된 것도 한 덩어리라 한다.

 

31. 지견불생분(知見不生分)

 

“수보리야,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부처님께서 아견(我見)ㆍ인견(人見)ㆍ중생견(衆生見)ㆍ수자견(壽者見)을 말씀하셨다’고 한다면,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이 사람이 내가 말하는 뜻을 안다 하겠느냐?”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이 사람은 여래께서 말씀하신 뜻을 알지 못하옵니다. 무슨 까닭인가 하면, 세존께서 말씀하신 아견ㆍ인견ㆍ중생견ㆍ수자견은 아견ㆍ인견ㆍ중생견ㆍ수자견이 아니므로 아견ㆍ인견ㆍ중생견ㆍ수자견이라 이름하기 때문입니다.”
“수보리야,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낸 이는 온갖 법에 대하여 마땅히 이렇게 알며 이렇게 보며 이렇게 믿고 해석하며 법상(法相)을 내지 않느니라. 수보리야, 법상이라 하는 것은 여래가 말하기를 법상이 아니므로 법상이라 하느니라.”

 

32. 응화비진분(應化非眞分)

 

“수보리야, 어떤 사람이 한량없는 아승기 세계에 7보를 가득히 쌓아 두고 보시하더라도 다른 선남자와 선여인으로서 보살 마음을 낸 이가 이 경에서 사구게만이라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고 남을 위하여 일러 주면 그 복이 저 보시한 이의 복보다 더 나으리라.
어떻게 남을 위하여 일러 주는가? 모양[相]에 국집하지 않고 항상 여여(如如)하여 움직이지 않아야 하느니라. 무슨 까닭인가?

온갖 유위(有爲)의 법은
꿈 같고 그림자 같고 꼭두각시 같고 거품 같으며
이슬 같고 번개 같으니
이러한 것으로 관찰하여라.”

부처님께서 이 경을 설하여 마치시자 장로 수보리와 여러 비구ㆍ비구니ㆍ우바새ㆍ우바이와 일체 세간의 천인(天人)ㆍ아수라가 부처님께서 설하신 법을 듣고 모두 크게 기뻐하면서 믿고 받아 받들어 행하였다.
진언을 설하였다.
 

출처 : 동국대학교 한글대장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