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26. 법신비상분(法身非相分)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32상으로 여래를 볼 수 있겠느냐?” 겉모양에서 부처를 찾거나
27.무단무멸분(無斷無滅分)
“수보리야, 네가 생각하기를, ‘여래는 거룩한 몸매[具足相]을 갖춘 탓으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는 것이 아니다’라고 하겠느냐? 수보리야, 여래가 거룩한 몸매를 갖춘 탓으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하지 말라.
28. 불수불탐문(不受不貪分)
25) 사람도 공하고 법도 공한 이치를 깨닫고 거기에 편안하게 머물러 있어 움직이지 않는 지혜를 말한다.
29. 위의적정분(威儀寂靜分)
“수보리야, 만일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여래가 오기도 하고 가기도 하고 앉기도 하고 눕기도 한다’ 하면, 이 사람은 내가 말한 뜻을 알지 못함이니, 무슨 까닭이냐? 여래라는 이는 어디로부터 오는 일도 없고 가는 데도 없으므로 여래라고 이름하기 때문이니라.”
30. 일합리상분(一合理相分)
“수보리야, 만일 어떤 선남자와 선여인이 삼천대천세계를 부수어 티끌을 만든다면 어떻게 생각하느냐? 이 티끌들이 많지 않겠느냐?”
26) 미진들이 모여서 세계를 조성한 것을 말하는 것이며, 또 5온이 화합하여 사람이 된 것도 한 덩어리라 한다.
31. 지견불생분(知見不生分)
“수보리야,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부처님께서 아견(我見)ㆍ인견(人見)ㆍ중생견(衆生見)ㆍ수자견(壽者見)을 말씀하셨다’고 한다면,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이 사람이 내가 말하는 뜻을 안다 하겠느냐?”
32. 응화비진분(應化非眞分)
“수보리야, 어떤 사람이 한량없는 아승기 세계에 7보를 가득히 쌓아 두고 보시하더라도 다른 선남자와 선여인으로서 보살 마음을 낸 이가 이 경에서 사구게만이라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고 남을 위하여 일러 주면 그 복이 저 보시한 이의 복보다 더 나으리라. 온갖 유위(有爲)의 법은 부처님께서 이 경을 설하여 마치시자 장로 수보리와 여러 비구ㆍ비구니ㆍ우바새ㆍ우바이와 일체 세간의 천인(天人)ㆍ아수라가 부처님께서 설하신 법을 듣고 모두 크게 기뻐하면서 믿고 받아 받들어 행하였다. 출처 : 동국대학교 한글대장경 |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 |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 6 | 단장중용 | 2023.01.12 | 569 |
5 |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 5 | 단장중용 | 2023.01.12 | 42 |
4 |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 4 | 단장중용 | 2023.01.12 | 11 |
3 |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 3 | 단장중용 | 2023.01.12 | 13 |
2 |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 2 | 단장중용 | 2023.01.12 | 16 |
1 |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 1 | 단장중용 | 2023.01.12 | 56 |